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난과식물205

큰방울새란 (난초科 방울새란屬) 청파가너무나도 좋아하는           야생란인데    원 없이 보고 또 보고카메라 앵글에비추이는            멋진      모습을 맘껏담아왔습니다.             2015,  5,  28   양구 2024. 6. 8.
애기제비란屬 (난초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흡스골 주변          국내에서 애기제비란 이라는 개체들과 유사한 이 종은 청파도 몽골에서 처음 접했다.            다년생으로 키 20cm 이하로 작고 花序당 6~10여 개의 초록색의 꽃이                붙고 개화기는 6~7월이며 距의 길이는 1cm 이하로 짧았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지방           장타원형의 잎은 1매의 根生葉과 1~2개의 짧은 莖生葉이 있고 꽃대는                 원통형으로 세로줄 골이 나있으며 털이 없다. 2024. 5. 28.
석곡 (난초科 석곡屬) 2015,   7,   7    전남                      2020,  5,  28   제주도              자생종 보기가 쉽지 않다               배양종을 인위적으로 나무에 붙여서 애배된 개체들을 촬영했습니다.                2020,  5,  26   제주도             관련 글 :  석곡 (난초科 석곡屬)                        콩짜개란 / 석곡 / 혹난초 2024. 5. 19.
나도풍란 (나도풍란屬) 2020,  5,  28    제주도            2023,  7,  17   제주도            다년성 착생란으로 상록이며 장타원형의 잎은 2줄로 5~7매로                 길이 6~15cm이고 너비 2.5~3cm이며  總狀花序의 연황록색           꽃은 6~8월에 아치형으로 4~10개가 늘어져 개화한다.            멸종위기종이나 이미 훼손돼 볼 수 없고 일부 배양종이                  개인 또는  식물원에서 애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4. 5. 13.
나도제비란 (나도제비난초屬) 2014, 5, 17 소백산 다년생 地生蘭으로 키 8~17cm로 자라고 根部에서 나온 잎은 1개로 倒卵形이며 길이 4~7cm, 폭 2,5~5cm이고 한반도와 중국, 아무르, 사할린, 일본 지역의 습지 부근에서 분포하며 오리난초로 부르기도 한다. 연분홍 & 백색 바탕에 분홍점박이의 꽃은 5~6월에 穗狀花序로 1~2개가 개화한다. 2015, 5, 24 정선 2014, 7, 2 대암산 蒴果는 길이 10~15mm로 원통형이며 7~8월에 성숙한다. 뿌리는 여러개가 길고 굵게 자라며 흰색이다. 2024. 2. 23.
산호란 (산호란屬)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흡스골 호리둘 산맥 오름에서 다년생 腐生蘭으로 키 10~20cm로 곧게 자라고 잎은 퇴화해 아래쪽 줄기를 감싸는 잎싸개로 남아있다 분포 : 한반도 북부, 중국, 몽골, 러시아, 황색의 꽃은 總狀花序로 6월에 평균 10~15개가 핀다. 根莖이 산호 모양이라서 산호란으로 명명한 듯합니다. 자생지 (호리둘 산맥) 관련 글 : 산호란 2023. 11. 28.
털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屬) 2018, 7, 9 몽골 여정 8일 차 흡스골 주변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흡스골 주변 2016년 6월 4일 백두권 천교령진 그리고 5년 전인 2018년에 이 지역의 주변에서 만났는데 금년엔 좀 떨어진 산자락에서 많은 개체들을 보았다. 흰꽃이 피는 개체를 보지 못한 건 아쉬웠다는 ~ 다년생 地生蘭으로 키 20~35cm로 자라고 廣楕圓形의 평균 2매의 잎은 길이 10cm 내외, 너비 3~7cm이며 거의 대부분 互生한다. 자주, 분홍, 백색이 어우러진 꽃은 6월에 개화하며 子房엔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자생지 주변 경관 호리둘 사르닥 산맥 흡스골 호수 관련 글 : 털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털개불알꽃) 2023. 10. 26.
털사철란 (사철란屬) 2023, 8, 20 제주도 다년생으로 키 10~20cm로 자라고 자녹색의 잎은 중앙 맥이 흰색 & 붉은색이며 줄기는 빨강색과 갈색으로 곧게 서고 주변 습도가 높은 반그늘에서 자라며 꽃, 花托, 잎, 苞葉 등 全草에 융단 같은 털이 밀생합니다. 붉은빛이 도는 연갈색의 꽃은 總狀花序로 8~9월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개화하며 크고 잘 발달한 苞葉은 짙은 갈색입니다. 줄기의 밑부분은 땅으로 포복하며 마디에선 발근해 번식하기도 한다. 2023. 9. 6.
한라옥잠난초 2023, 8, 20 제주도 열매를 보고왔습니다. 위인경은 벌브의 일종으로 양분 저장소 역활을 하며 밑 부분에서 새싹이 나와 자라며 번식을 하기도 한다 꽃 & 정보는 클릭 ▶ 한라옥잠난초 (나리난초屬) ◀클릭해 보십시요 2023. 9. 6.
제주방울난초 2023, 8, 20 제주 다년생으로 키 20cm 내외로 자라고 總狀花序의 황록색 꽃은 8~9월에 개화한다. 잎은 全草 아랫쪽에서 10cm 내외의 길이로 3~5개가 촘촘하게 互生한다. 방울난초와 애기방울난초는 다음 기회에 ~ 2023. 9. 2.
백운란 (백운란屬) 2023, 7, 16 제주도 우천으로 탐사가 원활하지 못했고 이미지 또한 선명치 못하다. 2급 보호종인데 대체적으로 개체수가 올해엔 많아져 다행입니다. 地生蘭으로 다년생이며 키 7~15cm로 자라며 지하 根莖이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發根하며 번식하고 穗狀花序의 흰꽃은 7월에 개화한다. 분포 : 울릉도, 전남북, 충남, 제주도 관련 글 : 청파 야생화 세계 | 백운란 - Daum 카페 청파 야생화 세계 | 백운란 - Daum 카페 2023. 7. 27.
한라옥잠난초 (나리난초屬) 2023, 7, 16 제주도 오래전부터 기대했는데 항상 어긋나 만나지 못했던 한라옥잠난초 ! 기대하고 찾아간 자생지에 도착한 그 시각에 아뿔사 비가 많이 내립니다. 우산을 받혔지만 옷은 다젖고 카메라의 렌즈엔 습기가 . . . 한 두 컷은 건지겠지하고 많이 찍었으나 이미지가 다 선명치 못하다. 그래도 난과식물 bucket list 5종 중 1건은 해결했습니다. 다년생 地生蘭으로 키 20~35cm로 자라며 한국(제주도).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연자주, 진자주색의 꽃은 總狀花序로 7월에 개화한다. 잎은 2매로 넓은 卵形 & 심장형이며 길이 5~10cm, 너비 4~8cm 정도입니다. 葉柄의 길이는 4~6cm. 자생지로 접근하면서 ~ 2023. 7. 23.
갈매기란 (제비난초屬) 2023, 5, 23 제주도 다년생 地生蘭으로 키 30~60cm로 자라며 穗狀花序의 흰꽃은 길이 10~20cm, 10~25개의 꽃이 붙고 갈매기를 닮은 꽃은 5~6월에 개화한다. 분포 : 강원도, 경남, 제주 2023. 6. 8.
두잎약난초 (약난초屬) 두잎약난초는 소수의 개체만 남아서 근근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데 훼손 없이 보호해야 할 난과식물로 금년의 3번째 확인을 통해서 무난하게 잘 자라 가고 있음에 안심하면서 마지막 조우를 했고 다시 보러 가지 않으렵니다. 오래도록 많은 번식과 건강한 서식을 기원하면서 ~ 2023, 5, 23 제주도 다년생 地生蘭으로 總狀花序의 꽃은 5월에 개화한다. 구경(벌브)은 1~3년에 1개씩 늘어가며 각 구경은 지하경으로 연결되고 구경에 영양분을 저장해 새잎이 자라는데 도움이 된다. 두잎약난초는 감자난초처럼 개화기땐 잎이 사라지고 가을에 새잎이 평균 2매가 (그래서 2잎약난초) 자라나 월동하며 이듬해 또 개화기땐 노화돼 없어지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각각의 구경을 분리하면 1개의 개체로 잎이 나오고 꽃이 피는데 자연상태에.. 2023. 5. 30.
감자난초 (감자난초屬) 2023, 5, 3 광릉 다년생 地生蘭으로 키 20~40cm 정도 자라며 잎은 球莖에서 1~2개가 20~30cm의 피침형으로 발생하고 황백색의 꽃은 總狀花序로 5~6월에 개화한다. 꽃을 분석하면 주판, 화판, 부판(측편), 설판, 주두, 암술대, 수술을 정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2023.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