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그외 동 식물139

원앙 (오리科) 오늘(2024, 2, 17)은 봄날처럼 포근한 날씨에 주말이라서 창경궁을 다녀왔습니다. 거의 해마다 11~12월과 다음 해 2월에 원앙을 잘 볼 수 있는데 이들이 포식자들부터 안전하게 쉴 수 있는 이곳 춘당지에서 보내며 먹이활동 시간엔 열매, 종자, 곤충 등을 찾아 떠나고 다시 돌아오지만 산란과 육아기엔 번식지로 날아가고 연말이면 다시 창경궁으로 오는데 대략 50~100여 마리가 됩니다. 천연기념물 제327호이고 몸길이가 41~47cm 입니다. 아래 원안의 개체는 수컷으로 보이는데 머리털이 흐트러져있고 완전한 수컷이 아닌 중성 같기도 합니다. 싸움에서 피해를 본 듯 ~ 암컷인데 날개에 파랑색의 깃털이 보이는 한마리가 보였습니다. 특별해서 집중 촬영했네요 동 영 상 1 동 영 상 2 동 영 상 3 춘당지 .. 2024. 2. 17.
23 몽골 여정중 만난 동물과 곤충들 식물과 곤충, 그리고 동물들 대부분은 화분매개 또는 먹이, 숙주, 은신처 등의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일부는 국내에서도 볼 수 있는 낯익은 곤충과 동물들도 있었는데 정명은 난해해서 생략 합니다. 함께 보시죠 2023, 6, 26 몽골 여정 2일 차 2023, 6, 29 몽골 여정 5일 차 거품벌래로 국내의 종들과 유사합니다. 2023, 6, 30 몽골 여정 6일 차 2023, 7, 2 몽골 여정 8일 차 어렷을때 많이 흔하게 보던 소똥구리 멸종돼서 몽골의 종으로 복원 중인데 가축의 방목이 없어 먹이인 소, 말 등의 분뇨가 성공의 관건일 겁니다. 성공해서 많이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제 몸보다 큰 분 덩어리를 뭉쳐 운반하다 나한테 딱 걸렸다. 2023, 7, 2 동물들 (2023, 6, 26 몽골 여정 2.. 2023. 11. 4.
실고사리 (실고사리科) 2023, 5, 3 광릉 덩굴성 다년초로 잎의 中軸이 길게 자라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2m 정도 까지 자라고 葉柄이 아주 길며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자생한다 胞子囊의 성숙기는 8월~다음 해 1월인데 온실안의 이 개체는 잎 이면에 포자낭이 자라고 있습니다. 2023. 5. 5.
개미의 기생충 EBS에서 방영된 개미의 기생충에 관한 영상입니다. https://youtu.be/zKyvQJ00LZ0 2023. 2. 20.
연가시 (사마귀의 기생충) ebs에서 방영된 연가시의 생활사 영상입니다. 식물계의 신비스런 현상들처럼 동물계, 곤충, 기생충들도 기괴한 번식과 생활상이 있습니다. 연가시의 일생도 그렇고요 https://youtu.be/joushZ0FVOM 2023. 2. 20.
창경궁의 식물들 요즈음 창경궁 온실은 겨울속의 봄입니다. 온실 전경 (2023, 2, 17) 食蟲植物 긴잎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科) 돌단풍 (범의귀科) 백량금 (자금우科) 사스레피나무 (차나무科) 食蟲植物 파리지옥 (끈끈이귀개科) 파초일엽 (꼬리고사리科) 파초일엽 잎 이면의 胞子囊群 (포자낭군) 2023. 2. 20.
원앙새 오늘 날씨가 흐렸지만 창경궁 춘당지의 원앙새들을 보고왔습니당 함께 보시죠 동 영 상 2023. 2. 17.
몽골에서 본 곤충들 2022, 6, 24 ~ 7, 2일 까지 몽골 식물 탐사중 만난 곤충들로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모메뚜기, 등검은메뚜기와 대동소이 합니다. 1, 가뢰과科 먹가뢰 2, 부전나비科 3, 메뚜기科 2022. 10. 24.
청계천의 조류들 2022, 10, 2 청둥오리 한쌍 (오리科) 왜가리 (백로科) 중백로 (백로科) 중대백로 (백로科) 2022. 10. 7.
겨우살이 (단향科) 수년전부터 겨우살이 가계들의 과제를 마무리하려 했지만 못된 인간들이 낮은 개체들을 다 잘라가 높은 위치에만 남아서 아주 아주 작은 꽃을 접사 하기는 불가능했다. 그래도 국립수목원엔 감히 훼손 안됐겠지 생각에 지난 3월 31일 부푼 마음으로 달려갔건만 에 효 ! 혹시나가 역시나였다. 많기는 한데 다 높은 위치다. 40-150mm 줌렌즈도 무용지물 ... 열매는 잡히는데 꽃은 꽝 ! 포기하고 내려오다 3m 정도의 높이에 제법 큰 개체가 보인다. 그래도 어찌해서 작은 꽃을 초접사 했는데 수꽃이었습니다. 암꽃은 어디로 가야하나 ㅋㅋㅋㅋㅋㅋㅋ 겨우살이는 常綠 小灌木으로 30~80cm로 자라고 녹색의 가지는 叉狀으로 分枝해서 까치집처럼 원형을 이루고 줄기의 마디 부분은 약간 부풀어있다 對生하는 잎은 長楕圓形으로 3.. 2022. 4. 17.
참모자반 (모자반科) 제주에서 몸국이란걸 한번 먹어보았는데 재료가 돼지고기 육수에 참모자반을 넣고 끓인거라는데 청파는 맛없어 다시는 안먹습니다. 또는 A, 1, 멸치 육수에 된장1스푼을 풀고 씻어놓은 몰을 넣는다 2, 돼지고기를 썰어넣고 다진마늘도 함께 넣는다 3, 충분히 끓으면 다진청양고추와 파를 넣고 4, 싱거우면 액젓으로 간을 맞춘다 끝 또는 B, 참모자반을 살짝 데쳐서 간장, 마늘, 파, 깨소금, 참기름으로 양념해서 먹기도 한다는데 시도해 볼가합니다. 2022, 3, 16 페친이 강진에서 보내준 재료(돼지고기, 참모자반)를 촬영했습니다. 아래는 바닷물속에서 자라는 모습으로 줄기 끝은 물위로 떠있고 뿌리는 바위에 단단히 붙어있습니다. 국내에서 자라는 모자반은 28종이며 식용으로 가능한 참모자반은 얕은 바다에서 자라고 전.. 2022. 3. 16.
원앙새 어제창경궁 춘당지에서 촬영한 원앙새들 입니다. 미세먼지로 날씨가 못좋아서 사진이 선명치 못하니 참고하고 함께 보시죠. 동 영 상 2022. 3. 12.
물긴가지이끼 (둥근이끼科) 2019, 8, 30 경기 남부 속명은 Riccia fluitans인데 水中 또는 습지 식물로 물이 마르면 진흙에 뿌리를 내려 자라기도 하는 雌雄同體이며 어항의 수초로 사용하기도 한다. 2020, 9, 24 경기 중부 2021. 12. 29.
쥐방울덩굴 / 등칡 쥐방울덩굴科 쥐방울덩굴 & 등칡 정보입니다. 1, 쥐방울덩굴 (2020, 7, 5 춘천) 덩굴성 다년생으로 5m 까지 자라고 根莖, 實生 번식하며 잎은 互生한다. 꽃은 7~8월에 개화하는데 통(筒) 같은 花托은 밑 부분이 둥글게 커지며 열매는 削科로 커다란 공모양이다. 2021, 6, 12 서울 2020, 7, 6 노들섬 열매와 종자 (2014, 3, 2 용문산) 2, 등칡 (2021, 5, 5 태백산) 낙엽 덩굴성 목본류로 10m 까지 큰나무를 타고 올라가며 줄기의 굵기도 5~10cm 로 자라고 둥근 심장형의 잎은 호생하고 양성화(兩性花)의 황록색 꽃은 4~5월에 색스폰 모양으로 엽액(葉腋)에서 개화한다. 아래는 꽃(花筒)의 단면도이며 ㅁ안은 꽃술대로 암술과 수술이 융합된 기관으로 난초과 식물들이 그런.. 2021. 12. 22.
새삼 / 갯실새삼 / 미국실새삼 / 분홍실새삼 기생식물로 다른 식물에 기생해서 뿌리가 없어도 영양분을 탈취해 생존하는 메꽃과 새삼들을 함께 봅니다. 새삼 화통이 좁고 열편 끝이 5갈래이고 끝이 무디고 꽃술이 화통과 높이가 비슷하다. 갯실새삼 화통의 끝이 5갈래이고 젖혀지며 열매(자방)가 화통 안에서 약간만 보인다. 미국실새삼 화통열편 끝이 5갈래, 끝이 젖혀지고 뾰족하며 열매의 절반 정도가 화통밖으로 올라옴 분홍실새삼 화통 열편 끝이 5갈래, 끝이 젖혀 안지고 뾰족하며 화색이 분홍색이다. 1, 새삼 (2020, 6, 1 제주도 강정교) 2, 갯실새삼 (2019, 8, 28 연천) 아래는 수분(受粉)이 끝나고 열매가 성숙중입니다. 아래는 벌래가 기생해서 열매처럼 생긴 충영([蟲癭)입니다. 충영을 갈라보면 속은 벌래가 머물던 공간이 보입니다. 3, 미국.. 2021.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