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산마늘5

산마늘 (백합科) 2020, 5, 4 울릉도 명이나물로 더 많이 알려진 다년초로 내륙의 산마늘보다 잎이 더 넓고 크기에 재배 품종으로 많이 보급되었다. 2020. 5. 9.
산마늘 (백합科) 수년전 울릉에서 1촉을 데려왔는데 6개체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무늬는 발전하지도 퇴보하지도 안네요 그래서 종자가 생기면 파종해서 멎진 개체를 선별하면 좋겠는데 해마다 벌마늘종만 나오고 실패했는데 올해는 어찌될런지 .. 부디 정상이길 기도한답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2. 3. 10.
산마늘 (백합科) 얘네들 왜이리 급하대요 ,, 하루가 다르게 자랍니다 울릉도가 고향인 산마늘 무늬종인데 여러해동안 발전하지 못하고 삐리리 합니다 종자가 생기면 파종해서 선발하면 좋으련만 어찌해서 그런지 벌마늘이 되어서 꽃이 못피니 채종을 못하네요 올해엔 꽃대를 올려주길 간절히 기대한답니다 ㅎ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2. 2. 27.
산마늘 (백합科) 위 모습은 지난해 접사한 사진인데 ,,, 산반종으로 울릉이 고향입니다 배신을 잘하는 초종으로 후발성 품종인데 금년엔 어찌될런지 넘 궁금하답니다 .. 폭풍으로 오가도 못해서 굶주리게 되었지만 산마늘로 연명할 수 잇었다해서 명의나물로도 불려지는데 장아찌 식품으로 울릉도 특산품이랍니다 .. 강원도지방의 산마늘은 울릉산보다 잎이 좁더군요 아래는 오늘 찍은 모습입니다 .. 성질이 급해선지 많이자랐는데 지난해보다 발전했으면 하고요~ 맨아래는 08년 6월 21일자 파종한 실생입니다 산마늘은 채종후 즉시 파종하면 그해 가을에 뿌리가 자라나고 새싹이 약간자라서 월동을 합니다 .../ 영하 5도 내외 정도는 월동이 무난하지만 마늘처럼 피복해줌이 좋습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0. 8. 9.
산마늘 (백합科) 지난해보다는 더 발전된 모습입니다 2009.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