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백두권 식물 목본류62

물앵도나무 (인동科) 2022,  5,  14   양구             落葉 灌木으로 키 2~3m로 자라며 중국(북동부),            러시아(동부),  한반도  북부에 분포한다.              백색에 황색이 약간 가미된 꽃은 5~6월에               가지 끝의 葉腋에서 2개씩 개화한다.                 對生하는 잎은  길이 3~8cm로 장타원상이며                 이면에 털이있고 거치는 거의 없다.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황송포               漿果는 지름 5~7mm로  구형이며 8~9월에 황적색 & 적색으로 성숙한다. 2024. 6. 18.
매발톱나무 (매자나무科)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부석림 키 3m까지 자라는 落葉 灌木으로 分枝가 많고 互生하는 잎은 길이 3~10cm로 倒卵形 & 타원형이며 짧은 가지에선 모여 붙고 털이 없으며 예리한 거치가 촘촘하게 존재한다. 황색의 꽃은 5~6월에 개화하며 백두권을 비롯한 중국 동북부,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타원형의 漿果(장과)는 1cm 내외, 9~10월에 성숙하며 종자의 길이는 8mm 정도이다. 관련 글 : 매발톱나무 # 섬매발톱나무 (매자나무科) 섬매발톱나무 (매자나무科) 2024. 4. 12.
진퍼리버들 (버드나무科) 2023, 9, 10 백두권 탐사 3일 차 이도습지 #落葉 灌木 #키 1m 내외 #分枝가 많고 #잎은 互生 #雌雄異株 # 5~6월 개화. 분포 : 백두산 주변, 몽골, 우수리, 아무르, 러시아, 유럽의 습지 암꽃으로 柱頭는 2갈래로 갈라지며 원뿔 같은 긴 花梗의 기부엔 1개의 腺體가 있고 果穗의 표면엔 털이 없습니다. 잎의 표면은 녹색, 이면은 회백색으로 거치가 없이 밋밋하다. 수꽃 개화 모습 (2022, 6, 29 몽골) 암꽃 개화모습 (2022, 6, 29 몽골) ※ 선체 (腺體 gland-like body ) : 식물이 필요한 분비 물질을 배출하는 조직으로 씨방(子房)의 밑부분이나 잎자루에 보이는 작은 샘(腺) 모양의 돌기. 관련 글 : 진퍼리버들 (버드나무科) 진퍼리버들 (버두나무科) 2024. 2. 16.
진퍼리꽃나무 (진달래科) 2023, 9, 10 백두권 탐사 3일 차 이도습지 常綠 灌木으로 키 40~100cm로 자라며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부, 일본,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반도 시베리아, 유럽, 북미 등 넓은 지역의 습지대에서 분포한다. 互生하는 잎은 길이 3~4cm로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倒披針形)으로 끝이 둥근 혁질(革質)로 양면엔 회백색의 작은 油點이 밀생한다. 蒴果(삭과)는 암술대가 길게 나와있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백색의 兩性花는 깔대기 모양이며 6~7월에 總狀花序로 개화한다. 아래는 늦둥이로 受粉이 끝나고 5개의 花托裂片이 벌어진 모습이다. 관련 글 : 진퍼리꽃나무 (진달래科) 2024. 1. 16.
가시오갈피나무 (두릅나무科)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황송포 습지 落葉 灌木으로 키 2~3m, 크게는 6m까지 자라며 수꽃양성화한그루(雄性兩性同株)로 7월에 연황 또는 백색의 꽃은 傘形花序로 개화하는데 兩性花序를 중심으로 하위엔 빈약한 雄花序가 위치하며 5개의 꽃잎, 5개의 수술이 있고 국내를 비롯한 중국 동북부, 일본(북해도), 러시아에 분포한다. 核果는 구형(球形)으로 지름 0.8~1cm이고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하며 종자는 아래처럼 초승달 & 반원형으로 길이 5mm 내외이다. 互生하는 잎은 3~5개의 掌狀複葉으로 갈라지며 소엽은 길이 5~13cm이고 이면의 엽맥엔 짧은 털이 밀생하며 葉柄의 길이는 5~12cm로 비교적 길다. 어린 새 가지는 갈황색이나 점차 회백색으로 변하고 길고 바늘 같은 가시가 밀생 한.. 2024. 1. 9.
덤불오리나무 (자작나무科)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落葉 小喬木 (喬木)으로 키 4~10m로 자라며 廣卵形의 잎은 길이 5~10cm, 거치는 겹으로 불규칙하고 葉柄의 길이는 2~3.5cm이다. 수꽃(雄花穗)인데 미숙한 상태로 겨울나고 봄에 길게 자라서 개화한다. 雌雄同株의 꽃은 4~5월에 잎이 나면서 동시에 개화하고 雄花穗의 길이는 4~5cm로 가지 끝에서 2~3개가 모여핀다. 한가지에서 암꽃은 아래, 수꽃은 위쪽에 붙는다. 果穗의 길이는 1~1.5cm로 광타원형이고 10~11월에 성숙한다. 小堅果는 길이 3mm 정도로 작고 암술대가 남아있으며 막질의 날개가 붙어있다. 잎 이면에 8~10쌍의 側脈(측맥)은 뚜렷하다. 冬芽는 성긴 털이 나있고 홍자색(흑자색)으로 길이 1~1.5cm입니다. 樹皮는 진회색 & 암갈색으.. 2024. 1. 7.
아광나무 (장미科)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황송포습지 落葉 灌木 & 小喬木으로 높이 7m까지 자라고 散房花序의 흰꽃은 4~5월에 兩性花로 줄기끝 新梢 에서 개화하며 지름 1.2cm, 암술은 3~5, 수술 20개 내외이다. 분포 : 중국 동북부, 일본(홋가이도), 몽골, 러시아, 국내 일부 지역. 梨果는 지름 8mm 내외의 球形이며 적색으로 8~9월에 성숙하며 종자의 길이는 5mm 내외이다. 互生하는 잎은 마름모 또는 廣卵形으로 길이 4~6cm이며 이면에 백색의 짧은 털이 밀생한다. 가지의 表皮는 암회색이며 新梢는 적갈색으로 털, 1.5~3.5cm의 긴 가시가있으나 점차로 사라진다. 관련 글 : 아광나무 (장미科) 2023. 12. 22.
배암나무 (산분꽃나무科)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그동안 인동과로 이해했는데 산분꽃나무과로 바뀌었네요. 금년 백두권 탐사에서 붉게 완숙한 열매를 볼 수 있어 좋았으나 그러나 개화기를 놓쳐서 꽃을 보지 못함은 아쉬움으로 오래도록 남을 듯 ~ 落葉 灌木으로 키 2m 정도까지 자라며 백색의 양성화는 6~7월에 聚繖花序로 가지 끝에서 개화한다. 分布 : 국내(설악산), 중국(지린성), 백두산 일대, 일본(홋가이도), 核果는 원형 & 타원형으로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종자는 길이 7~8mm로 납작하고 타원형이다. 對生하는 잎은 廣卵形, 亞圓形으로 길이 6~13cm로 비교적 크며 끝은 뾰족하고 葉底는 원형, 심장형이다. 잎의 이면은 회청색으로 엽맥이 뚜렷하고 백색의 털이 약간 있다. 樹皮는 회색, 진회색이며 사마귀 .. 2023. 12. 19.
부전자작나무 (자작나무科) 2023, 9, 10 백두권 탐사 3일 차 이도습지 落葉 灌木으로 키 2m 정도로 자라며 잎은 互生하는데 3~7mm의 葉柄에 길이 3~3,5cm의 廣卵形, 잔거치가 있다. 분포 : 한반도 북부, 백두권 (함남의 부전고원이 주 자생지다.) 雌雄同株의 雄花序는 가지 끝에서 1~2개가 아래를 향해 붙는데 점차로 위로 곧게 서가며 6월에 개화한다. 좀자작나무와 비슷하며 생태적인 변이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위는 수꽃 (雄花序) 아래는 암꽃 (雌花序) 雌花序는 잔가지의 葉腋에서 1개씩 붙고 果穗의 길이는 1.5~3cm로 長楕圓狀이다. 잎의 이면은 녹색에서 점차로 회녹색으로 변하는데 작은 油點 보인다. 위로 3번째 사진에서 잎 이면을 보면 油點이 촘촘하게 잘 보입니다. 樹皮는 회갈색 & 회백색이다. 堅果는 9월에.. 2023. 12. 17.
눈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2023, 9, 11 백두권 여정 4일 차 부석림 까치밥나무科 중 줄기가 땅으로 누워서 자라는 게 특징이며 잎의 결각이 거의 없고 원형인 개체를 둥근잎까치밥나무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상세 정보는 넓은잎까치밥나무와 비슷하니 아랫글을 참고하십시요. 회갈색의 줄기엔 가시가 없고 표피가 세로로 벋겨집니다. 눈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2023. 11. 24.
넓은잎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2023, 9, 9 백두산 언저리 선봉령 주변 漿果는 球形으로 8~10mm이며 8중 ~9월 상순에 적색으로 성숙하고 갈색의 종자는 길이 3~4mm이다. 2023, 9, 11 백두산 북파 입구 운동원호텔 주변 까마귀밥나무 (까치밥나무科) 가시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서양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눈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넓은잎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넓은잎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까막바늘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꼬리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눈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2023. 11. 23.
들쭉나무 (진달래科) 북한에서 유명한 들쭉술 담그는데 주원료로 완숙한 열매는 새콤달콤한 맛으로 먹을만해서 촬영 중 한 움큼 따서 먹기도 했다. 일부 일행들은 귀국 시 들쭉술을 사 오기도 했지만 청파는 술을 못 좋아해서 패싱 잣만 구입했습니다. 2023, 9, 10 백두권 이도습지 落葉 小灌木으로 키 30~100cm로 자라며 互生하는 잎은 길이 1~3cm, 너비 1~1.5cm로 장타원형이고 연홍색의 兩性花는 6~7월에 新梢 & 2년枝에서 개화한다. 흑자색의 열매는 漿果로 지름 1~1.5cm로 球形이고 8~9월에 표면이 분백색의 물질이 덮여 완숙한다. 한입에 ~ 맛있습니다. 같은 진달래과인 철쭉, 진달래, 만병초의 종자는 가루 수준인데 들쭉나무, 넌출월귤은 좀 큰 편이다. 관련 글 : 들쭉나무 꽃 들쭉나무 꽃 2023. 11. 20.
당마가목 (장미科) 2023, 9, 10 이도백하 연길엔 공원, 가로수 등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었다. 落葉 闊葉 小喬木으로 키 7m 정도까지 자라며 백색의 꽃은 5~6월에 개화한다. 梨果는 9~10월에 적황색으로 성숙한다. 종자의 길이는 4mm 내외이다. 對生하는 잎은 13~15개의 羽狀複葉으로 소엽의 길이는 4~6cm 이다. 관련 글 : 꽃 ( 당마가목 ) 2023. 10. 31.
린네풀 (린네풀科) 2023, 9, 11 백두산 언저리 황송포습지 풀 같은 목본류로 小灌木이며 성장 중인 줄기는 땅으로 기면서 자라고 廣卵形의 잎은 길이 5~10mm로 對生하며 비교적 습한 지역에서 자생한다. 분포 : 북반구의 한대 지역 영양줄기는 3~5개의 잎이 모여나고 끝에서 꽃이 달린다. 옆으로 기는줄기의 마디에서 발근해 번식하기도 하는데 예상외로 뿌리가 길다. 6~7월의 화기를 훌쩍 지났는데 늦쟁이 꽃을 한송이 보았네요 꽃이 지고 열매로 자라 가는 과정도 볼 수 있고 . . . 受粉된 꽃이 열매로 성숙해 가는 모습도 보았습니다. 完熟한 열매입니다. 아주 작아서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운 좋게 청파가 1개를 발견해 일행들에게 알려주고 모두 다 기쁜 마음으로 저마다 열심히 촬영했네요 그동안 백두권 탐사 시 소원했던 완.. 2023. 10. 12.
담자리꽃나무 (장미科) 2023, 6, 28 몽골 흡스골 호수 주변 백두산 소천지 상부에서(2018년) 이도백하(2019년)에서 알현하고 4년만에 몽골에선 처음 만났는데 낯익어 반가웠습니다. 언듯 보면 풀인데 나무라니 ! 놀랍당 . . 常綠 小灌木으로 키 4~7cm, 줄기가 지면에서 뻗어가며 자라고 백색의 兩性花는 6~7월에 줄기 끝에서 1송이씩 개화하며 완숙한 열매와 종자는 금년 9월 백두산 출사 때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分布 : 중국 북동부 , 백두산, 러시아, 북한, 몽골 꽃잎과 花托은 8~9개이며 花冠의 지름은 1.5~2.5cm이다. 타원형의 잎은 둔한 거치가 뚜렷하며 뒤로 살짝 말리고 이면은 백색의 짧은 털이 밀생해 흰색으로 보이며 中腋엔 긴털이 성글게 나있다. 관련 글 : 청파 야생화 세계 | 담자리꽃나무 .. 2023.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