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좁쌀풀5

좁쌀풀 (앵초科) 2023, 6, 17 양구 다년초로 키 40~100cm로 자라고 국내를 비롯한 동아시아지역에 폭넓게 분포한다. 황색의 꽃은 줄기 끝에서 6~8월에 圓錐花序로 개화하며 花冠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며 筒形의 花托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蒴果는 둥글고,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피침형의 잎은 길이 5~10cm, 폭 2~3cm로 줄기 하부에선 互生하나 중간 위에선 對生 또는 3~4장이 輪生하며 거치는 거의 없이 밋밋하고 葉柄은 짧다. 관련 글 : 좁쌀풀屬 다보기 (앵초科) 좁쌀풀 (앵초科) 열매 2024. 4. 14.
좁쌀풀 (앵초科) 2023, 9, 12 백두권 탐사 5일 차 액목습지 반기생식물로 다년생이며 습지에서 자생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키 50~100cm로 자라고 圓錐花序(원추화서)의 황색 꽃은 6~8월에 줄기 끝에서 개화하며 열매는 제주도에서 볼 수 있는 섬까치수영과 비슷하다. 분포 : 국내(전국), 시베리아, 일본, 중국, 사할린, 蒴果는 붉은색으로 둥글며 암술대가 길게 남아있음이 특징이고 花托의 길이가 열매의 절반정도이나 참좁쌀풀은 열매보다 길어서 차별된다. 피침형의 잎은 3~4매가 輪生하며 아래쪽은 互生한다. 관련 글 : 좁쌀풀屬 (앵초科) 2024. 2. 8.
좁쌀풀 / 참좁쌀풀 (앵초科) 2016, 7, 10 강원도 정선 좁쌀풀 2016, 7, 10 강원도 평창 참좁쌀풀 2016. 7. 17.
좁쌀풀 (앵초科) 2010. 7. 31.
좁쌀풀 (앵초科) 좁쌀풀 무늬종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09.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