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변이종 식물들35

탐라큰개별꽃 (석죽科) 2023, 4, 12 제주도 큰개별꽃의 화변종으로 全草의 모습은 큰개별꽃이나 꽃만 다겹화로 다르다. 따라서 큰개별꽃의 변이종으로 봄이 타당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됩니다. 겹꽃 여러개가 연복초처럼 붙어있는 상태로 암, 수술이 보이지 않는데 퇴화한 듯 하고 종자번식은 불가하나 다년생이라서 명맥은 유지하겠으나 악조건에선 사라질 수도 있을 듯 합니다. 실제로 2년전 7개체가 올해는 1개체만 보였습니다. 2023. 4. 21.
나도송이풀 (현삼科) 2021, 10, 16 경기도 半寄生植物로 화본과 식물을 숙주로 하고 1년초이며 키 50cm 정도까지 자라고 잎은 對生하며 홍자색의 꽃은 8~9월에 總狀花序로 개화하고 반기생식물은 좁쌀풀, 제비꿀, 절국대 등이있다. 열매는 녹색에서 흙갈색으로 성숙해간다. 1개의 열매에 아주 작은 종자가 이렇게 많이 들어있다. 기본종인 홍자색의 개체들은 줄기가 붉은색이고 흰꽃 개체들은 위 사진에서 보듯 녹색입니다. 나도송이풀 기본종입니다. (2017, 10, 17 충북) 2021. 10. 18.
흰입술망초 (쥐꼬리망초科) 2019, 8, 9 전남 아쉽게도 3개의 흰꽃은 봉오리만 보였다. 그래서 내일 (8월 10일) 다시 오기로 하고 ~ 외박을 했습니다. 2019, 8, 10 오전 다시 와보니 白花素心花 3개가 활짝 피어서 기분 업이다.... 아래는 기본종인 입술망초 입술을 닮았나요 ? 2019. 8. 12.
진달래, 산딸기, 난티잎개암나무, 둥굴레 어제 (5월9일)국망봉 탐사는 빡센 산행이었습니다. 미세먼지에 소나무 꽃가루가 함께 날리면서 하늘은 온통 뿌옇게 흐린 날씨였지만 1급보호 식물을 찾아야 한다는 집념으로 여러 고비의 깔딱고개를 넘고 넘은 4km의 탐사길 .... 목표는 실패 ! 그렇지만 대신 만난 斑入種들로 위안하면서 하루를 마감했네요. 色對比와 體系가 좀 부족해서 더 바람직한 變異種으로 거듭나길 기대해봅니다. 물론 진달래와 둥굴레의 경우 黃斑種으론 손색이 없지만요 2017. 5. 10.
청벗나무(어의환) (장미科) 20여 년전 쯤 되었는가보다 동네 사람들과 충남 서산군 개심사라는 사찰로 놀러갔는데 분홍색깔의 벗꽃송이가 어찌나 크던지 어른 주먹정도 컸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한송이 꽃이 여러 겹으로 피었고 고목이라서 자람이 한해에 2~3cm정도 자랐는데 그 2~3cm에 꽃눈이 7~10여개의 꽃봉오리가 비좁게 피어서 꽤 큰 꽃송이로 보였다 넘 좋아 보여서 다음해 봄에 한가지를 잘라서 접목을 했는데 자람이 좋으니까 마디가 길어지고 일반 겹꽃송이로 피었습니다 ... 실망 그 나무를 등지고 조금 앞에 생전처음 보는 초록색 겹꽃이 활짝 핀 큰나무가 보였다 변이종인가 아님 도입종인가 의아했고 이 품종도 어김없이 다음해 봄에 접목했답니다 아마도 일제시대에 일본놈들이 심은 듯 했다 그렇게해서 10여년이 지났을까 일본에서 개량된 어의.. 2012. 5. 9.
탱자나무 모음 (운향科) 도입종도있고 국내종도있고 ... 모두 다 무늬종으로 접목으로 번식했는데 좀 잘라서 삽목해도 좋습니다 ㅎㅎ 야는 고흥산 2세인데 꽃도 피는군요 ㅎ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2. 4. 25.
금사자 梅 (장미科) 짧은 마디 왜화성에 약간의 운용이 곁들인 매화나무입니다 작지만 여러개의 꽃이 피기 시작하네요 요즘처럼 이른 봄엔 꽃이 귀한때 이쁜짓 합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2. 2. 27.
운용매 (장미科) 가지가 용트림하는 운용매가 피기 시작했다 삽목과 접목으로 번식이 가능한 품종입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2. 2. 27.
홍뱀무 (장미科) 보통의 뱀무는 노랑꽃인데 이품종은 붉은색의 꽃을 피웁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0. 7. 31.
소나무 (소나무科) 발색중인 곰솔(해송)계의 홍공작송입니다 육송계의 사두목송(蛇頭目松 = 蛇目松) 촌초송(영관= 英冠)인데 분재목으로는 최상입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0. 7. 31.
운용매 (장미科) 가지가 용트림하 듯 구부러져 자라는 매화나무 입니다. 포트에서 키우던 넘을 농장에 심어두었더니 땅 넓은줄모르고 큰답니다 ^ 삽목 성공율이 낮아서 접목 취목으로 번식하며 대목은 살구나무입니다 접목시 많이 꾸부러진 접수로해야 용트림이 잘되니까 참고하십시요 ^ 금년부터 좀 더 관심두고 멎진 개체를 만들려 노력할겁니다 /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0. 7. 31.
松 (松科) 촌초송으로 영관(英冠)입니다 해송 무늬종이구요 청파가 아주 오래 전부터 키우는 황금송인데 폭설속에서 2주일여 묻혀있었기때문인지 색감이 좀 흐려졌어요 ^ 옥상 화분에서 키우는 형제들은 잘 크지안아서 이놈의 절반 크기이구요 ,,, 전남쪽에서 본 아주 큰나무들은 이국적이더군요 ,,, 야자수처럼 ~~~~~/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0. 7. 31.
마삭줄 (협죽도科) 운용마삭줄이라고 8.000원에 팔던데 도입종인 듯 합니다 덩굴성으로 잘 자라고 삽목으로 번식 용이함으로 최신 품종도 2~3년이 지나면 넘처납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10. 2. 2.
운용철죽 (진달래科) 유 원 에 서 .... 용트림하듯 가지가 구부러져 크는 철쭉입니다. 엑스바리 계열로 영산홍꽃 닮은 주황색꽃이 피는 품종으로 아주 오래 키웠는데 원예종으로 개량한 양철쭉에 접목해서 성공했습니다 봄에 개화하면 접사하러 가야겠어요 ..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09. 12. 19.
탑사철나무 (노박덩굴科) 유원농장엘 갈때마다 걍지나처버렸던 ....있었는지조차 기억이 없었는데 일전에는 첫 눈에 들어와서 담아왔습니다 번식은 사철나무가 삽목이 잘되니 이넘도 잘될겁니다 출처 : 청파야생화세계 글쓴이 : 청파 원글보기 메모 : 2009.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