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분류 전체보기3883

들떡쑥 (국화科)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백두권 초원에서 자주 만나던 ~               이곳 몽골의 개체들이 더 크고 풍성하며 융모도 빽빽하게 더 많다.              비교적 건조하고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서 키 30~40cm로 자라는               다년생으로 곧게 자라며 全草에 백색의 융단같은 짧은 털이 빽빽하고           1~4개의 頭狀花는 6~7월에 개화한다.                 互生하는 線形의 잎은 葉柄이 없으며 줄기는 根部에서 많이 발생한다.        관련 글 :  들떡쑥 (국화科) 2024. 6. 29.
가는용머리 (꿀풀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다년생으로 몽골, 시베리아에 분포하는데  흡수굴 주변의 자갈밭에서              자생 중인데 全草에 길고 흰털이 많고 키 10~15cm 정도로 자라고 있었다.             관련 글 :  가는용머리 (꿀풀科) 2024. 6. 29.
돌지치 (지치科)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몽골엔 돌지치가 여러 지역에 걸쳐서 자생하는데 2022년에 이어서 2023년에도                    볼 수 있었고 주로 휴게소, 민가, 도로변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全草에 거칠고 긴 흰털이 많으며 피침형의 잎은 中脈을 기점으로                   구두칼처럼 위로 절반정도 접히고 활처럼 아래를 향해 굽으며 葉柄은 없다.                 總狀花序의 벽자색 꽃은 6~7월에 花冠과 花托이  5개로 갈라져 개화한다.                分果는 4갈래이며 果梗이 짧고 가시 같은 돌기가 나있다.            관련 글 : 돌지치 (지치科) 2024. 6. 25.
꽃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科)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            관련 글  :  꽃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科) 2024. 6. 22.
물앵도나무 (인동科) 2022,  5,  14   양구             落葉 灌木으로 키 2~3m로 자라며 중국(북동부),            러시아(동부),  한반도  북부에 분포한다.              백색에 황색이 약간 가미된 꽃은 5~6월에               가지 끝의 葉腋에서 2개씩 개화한다.                 對生하는 잎은  길이 3~8cm로 장타원상이며                 이면에 털이있고 거치는 거의 없다.               2023,   9,   11     백두권 탐사  4일 차  황송포               漿果는 지름 5~7mm로  구형이며 8~9월에 황적색 & 적색으로 성숙한다. 2024. 6. 18.
관모개자리 (석죽과) 2023,  6,  30  몽골 여정 6일 차             다년생으로 북한의 관모봉과 몽골,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에 분포하고               흰꽃은 줄기의 끝에서 여러 개가 갈라져 1송이씩 개화하며 화기는 6~7월이다.                꽃잎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  柱頭는 3갈래로 갈라진다.                     선형의 잎은 길이 5~10cm로 根部에서 밀생하고 莖生葉은 3~5개의                     마디에서 對生하고 葉柄은 없다. 2024. 6. 14.
개씀배 (국화科) 2018,  6,  17   백두권 탐사  3일 차  내두산             좀 더 선명하게 많이 촬영할 걸                 산서개불알꽃 특히 홍산무엽란에 집중하다 정작 이넘들을 소홀히 했다.           아쉬움과 함께 왕씀배도 지난해 9월 탐사 시 놓친 기억이 또 남는다.               꽃이 있었음 집중해 볼 수 있었건만 ~             다년생으로 언 듯 박쥐나물로 착각할 수 있는 모습이나 큰 잎에 다소 도전적인                 결각과 葉柄에 날개가 없고 중간에 對生의 小葉이 특징이다.                圓錐花序의 황백색 꽃은 8~9월에 개화하며 북한과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2024. 6. 12.
윤판나물 (백합科) 2016,  5,  14   강원도 평창             다년생 宿根草로 키 40~60cm 정도 자라고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하며             국내는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에 자생한다.                2020,  4,  20   인천           互生하는 잎은 길이 5-15cm, 폭 1.5-4cm로  장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葉底는 둥글고   葉柄이 없으며 3-5개의 葉脈이 뚜렷하다.           길이 2cm의 황색 꽃은 4~5월에 줄기 끝에서 1~5개가 밑을 향해 개화하며           花莖은 짧고 花被片과 수술은 각각 6개, 1개의 암술은 3갈래의 柱頭로 갈라진다.               漿果는 .. 2024. 6. 10.
큰방울새란 (난초科 방울새란屬) 청파가너무나도 좋아하는           야생란인데    원 없이 보고 또 보고카메라 앵글에비추이는            멋진      모습을 맘껏담아왔습니다.             2015,  5,  28   양구 2024. 6. 8.
염주황기 (豆科) 2023,  9,   11    백두권 탐사 5일 차   소천지 주변             백두권엔 설령황기. 나도황기, 염주황기, 기본종인 황기 등이 분포하고 열매와                 종자를 확인하는 건 쉽지 않으나 운 좋게 염주황기를 볼 수 있었다.             염주황기는 열매가 염주처럼 달려있는데 열매                   길이가  2~3cm 내외, 小葉이 5~9쌍 (11~19개)             설령황기는 小葉이 4~6쌍으로 (9~13개)이고             나도황기도 염주 모양의 열매에 小葉  5~10쌍의 (11~21개)이나                    열매의 길이가 염주황기보다 긴 5cm 내외이다.              개화기 : 7~8월에 總狀.. 2024. 6. 3.
털봄맞이 (앵초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몽골에 갈때마다 흔하게 보았던 봄맞이꽃 녀석들 !               학명 : 안드로사케 인카나 Androsace incana            천초에 흰털이 산재하고 늦봄에서 초여름까지 개화하며 키 10cm 이하.                               분포 : 러시아,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 카자흐스탄, 몽골.             2023,  6,  29   몽골 여정 5일 차         관련 글  :  털봄맞이 (앵초科) 2024. 6. 1.
미나리아재비屬 (미나리아재비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흡스골 주변      북미나리아재비로 ( Ranunculus natans C.A.Mey) 동정한 꽃친구가 있어        다양하게 검색해 봐도 정동정이 못 되는 건  미나리아재비과의 종류가 많아서다.             자생 상태의 견해는 다년생으로 나도마름아재비와 흡사하며                주로 runner에 의한 번식을 하고 포복성으로 자라며 황색의 꽃은 6~7월에 개화한다.            아래는 잎의 기본 형태이나 3~5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양면에 털이 없다.     관련 글 : 나도마름아재비 (미나리아재비科) 2024. 5. 30.
애기제비란屬 (난초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흡스골 주변          국내에서 애기제비란 이라는 개체들과 유사한 이 종은 청파도 몽골에서 처음 접했다.            다년생으로 키 20cm 이하로 작고 花序당 6~10여 개의 초록색의 꽃이                붙고 개화기는 6~7월이며 距의 길이는 1cm 이하로 짧았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지방           장타원형의 잎은 1매의 根生葉과 1~2개의 짧은 莖生葉이 있고 꽃대는                 원통형으로 세로줄 골이 나있으며 털이 없다. 2024. 5. 28.
큰꽃장대 (十字花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언 듯 꽃만을 보면 소래풀을 연상케 하는데  花托, 줄기, 잎에 많은 털이 산재하고                 긴 주걱 모양의 잎이 소래풀과는 전혀 다르고 키 30~50cm로 자라며 2년초이다.          분포 : 한반도 북부, 아무르, 우수리, 몽골          산방상(揀房狀) 總狀花序는 5~6월에 줄기 끝에서 진분홍색으로 개화하고            角果는 장대처럼 길고 가늘게 자라는데 아쉽게도 이른 시기라 볼 수 없었다.              互生하는 잎은 작고 양면에 백색의 성긴 털이 산생한다. 2024. 5. 25.
꿩의비름屬 (돌나물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키가 작고(약 15cm) 곧게 선 꿩의비름을 만났는데 흰꽃이 촘촘하게 붙은                 花序의 길이가 全草의 절반에 이르며 줄기가 상대적으로 굵은  엉뚱한 녀석이었다.            흰花筒은 좁은 나팔처럼 생기고  受粉이 끝나면             유난히 긴 암술대가 밖으로 나와있으며  花苞는 자주색이다.             다육질의  전형적인 잎이 꿩의비름임을 알 수 있음 2024.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