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896 까치깨와 수까치깨의 구분에 대한 小考 2종의 구분이 애매하다. 그동안 까치깨의 동정에 작은 실수가 있었기에 삭제하고 바로잡아 보렵니다. 까치깨와 수까치깨를 굳이 구분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둘 다 兩性花로 10개의 수술에 비해 5개의 假雄蕊 (헛수술) 길이가 월등히 길어서 화관밖으로 올라와있습니다. 단 까치깨의 정상인 수술이 수까치깨보다 좀 더 길고 불규칙한 걸 촬영하면서 보았으며 대부분의 진사들은 花托이 까치깨는 옆으로 수까치깨는 뒤로 젖혀져 있다고 하는데 김태정, 이영노 도감엔 그런 내용이 없습니다. 특히 김태정의 도감엔 정보가 둘 다 거의 똑같습니다. 전초의 키가 좀 다를 뿐... 2024. 11. 26. 고욤나무 (감나무科) 2014, 6, 11 교동도 내륙의 개체들보다 화색이 더 붉고 화려합니다. 1970년대 감나무 대목(臺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많이 키웠던 기억과 어려서 부모님이 서리가 내리면 열매를 수확해서 항아리에 담아 입구를 볏으로 막고 창고 안에 두면 후숙 돼 겨울 동안 따듯한 방에서 화롯불 주위에 둘러앉아 맛있게 먹었던 기억을 해봅니다. 씨가 많아서 실속은 적고 불편했지만 ~~ 2022, 5, 28 홍릉 落葉 闊葉 喬木으로 雌雄異株로 아나톨리아 반도, 카프카스, 페르시아(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2024. 11. 22. 국립산림과학원 (홍릉수목원) 지난 11월 17일 (일요일) 청량리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거의 모두는 홍릉수목원으로 부름)을 다녀왔습니다. 함께 보시죠^ 국립산림과학원 정문 명색이 과학원이지 엉터리 정보가 많은 국가기관이다. 수년 전 식물들의 정명이 오동정 된 사례가 다수 발견돼 국무총리실에 이메일로 건의해 일부가 정정되었으나 아직도 미비하다. 목본류와 달리 특히 초본류들은 세월이 지나면서 우점종이 바뀌는 경우가 많다. 다른 종류의 종자가 바람등으로 이동해와 본래의 종과 다른 식생지가 되기 때문이다. 바위수국을 등수국으로, 파드득나물을 참나물로 등 잘못 기재된 표찰이 20여 건 이상이 있었고 식.. 2024. 11. 21. 둥근잎유홍초 (메꽃科) 2024, 11, 17 홍릉수목원 덩굴성 1년초로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원예식물로 귀화하였으며 붉은색의 꽃은 8-9월에 葉腋에서 발현한 긴 花梗에 3~5개씩 붙어 개화한다. 나팔 모양의 꽃은 花冠의 지름이 1.5-1.8cm이며 긴 筒部의 끝은 5갈래이다. 수술은 5개, 암술대는 1개인데 아래 이미지에선 다 비슷해서 확인이 난해하나 잘보면 구분이 가능하다. 蒴果는 둥글고 5개의 花托이 남아 열매를 감싸고 있다. 유홍초(새깃유홍초) 좌측 그리고 .. 2024. 11. 19. 유홍초 (메꽃科) 2024, 11, 7 청파동 지난해 뒷집 펜스 울타리 화단에 종자를 뿌려두었는데 엄청 많이 자라서 장관입니다. 한때 잎이 깃털 같아서 새깃유홍초로 불리던 존재이다. 1년생 덩굴식물로 1920년대 남미에서 귀화한 식물로 줄기는 1~2m로 자라서 주변의 물체를 감고 올라가고 개화기는 8~9월인데 올해는 늦더위로 11월 초까지 개화했다. 筒形의 꽃은 끝에서 5개로 갈라지고 암술 1개와 5개의 수술로 이루어진다. 互生하는 잎은 깃털처럼 잘게 갈라지고 줄기는 덩굴성이며 .. 2024. 11. 17. 주름조개풀 (禾本科) 집에서 가까운 거리... 보통거름으로 10분이면 갈 수 있는 효창공원에서 매번 만나는 주름조개풀과 민주름조개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보잘것없는 잡초이나 나름 보편적인 생존전략이 있었습니다. 함께 보시죠^ 2024, 11, 4 효장공원 다년초로 전국의 산자락이나 들판의 반그늘에서 자생하는 포복형 식물이다. 역광으로 촬영해 보니 긴 花梗에 짧은 털이 촘촘하게 잘 보인다. 피침형의 잎은 길이 4~8cm, 폭 10~15mm 정도의 크기로 주름이 지며 이면과 긴 葉鞘엔 짧은 털이 있고 줄기엔 없다. 줄.. 2024. 11. 12. 창일엽 (고란초科) 제주도 2020, 6, 1 일본, 중국, 대만, 인도차이나, 국내는 전남 일부와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은 상록성 피침형으로 단엽이고 길이 12-30cm, 너비 1.5-4cm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기부는 좁아져서 葉柄쪽으로 흐른다. 胞子囊은 잎의 뒷면에 산생하며 원형이고 지름 1-2.5mm인데 이 개체의 잎은 아직이다. 2024. 10. 13. 가시비름 (비름科) 2021, 10, 20 제주도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1년생 귀화식물이며 키 40~80cm로 分枝가 많고 卵狀 & 廣卵形의 잎은 길이 5~8cm로 互生하며 葉柄의 길이는 2~8cm이고 학명은 Amaranthus spinosus L.이다. 雌雄同株로 8~10월에 개화하는 雄花는 줄기 위에서 穗狀花序로 雌花는 葉柄에서 頭狀花序로 핀다. 葉柄의 기부(基部)에는 頭狀花序의 雌花가 붙고 托葉이 변한 5~20mm 길이의 날카로운 가시가 나있다. 2024. 9. 28. 둥근잎명아주 (명아주科) 2023, 7, 2 몽골 여정 8일 차 이름처럼 잎이 둥근형이고 1년초로 실생번식하며 몽골에서 본 모든 개체들은 키가 10~20cm로 작았습니다. 몽골, 만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잎이 좀 두텁고 葉柄이 길며 이면엔 가루 같은 粉狀物 (분상물)이 많이 붙어있다. 줄기는 원통형이나 여러 개의 골이 나있다. 자생지의 토양은 모래가 많은 지역이라 그런지 뿌리가 직근성이었다. 2024. 7. 11. 개자리屬 (豆科)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포장된 고속도를 포기하고 비포장 도로를 들어서 바로 펼쳐진 초원에 큰솔나리가 빨갛게 어우러진 풍경 속에서 본 개자리^^ 노랑개자리, 좀개자리, 개자리 등 국내서 보던 개체들보다 풍성하게 자라고 화서에 꽃수도 노랑토끼풀 보다 많았고 잔개자리와 비슷했습니다. 잎은 비수리처럼 3 엽이고 이면엔 짧고 흰털이 밀생 하며 花梗은 길고 小花梗이 짧으며 花托은 좁고 깊이 갈라져있다. 자생지 전경 자주개자리 (2015, 8, 20 강원도 정선) .. 2024. 7. 9. 나도닭의덩굴 (마디풀科) 2023, 7, 2 몽골 여정 8일 차 덩굴성 1년 초인데 몽골에서 만난 건 의외였다. 유럽, 일본, 아시아에 분포하나 국내는 귀화식물로 전국에서 볼 수 있고 길이 50~100cm로 자라는 줄기는 땅으로 누워 뻗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互生하는 잎은 심장형이고 穗狀花序의 꽃은 5~10월에 개화한다. 자생지 전경 관련 글 : 큰닭의덩굴 (마디풀科) 큰닭의덩굴 (마디풀科) 2024. 7. 7. 점나도나물屬 (석죽科) 2023, 6, 29 몽골 여정 5일 차 국내에서 보던 종들보다 花冠이 크며 5개의 花被片은 절반 정도가 갈라지고 全草엔 짧은 털이 산생한다. 피침형의 잎은 북극점나도나물과 비슷하다. 관련 글 : 점나도나물屬 (석죽科) 북극점나도나물 / 점나도나물 (석죽科) 2024. 7. 5. 좁은잎갯활량나물 (豆科) 2023, 6, 30 몽골 여정 6일 차 염생식물로 다년생이며 잎 이면과 花托에 흰털이 산생하고 대부분은 잎이 안으로 접혀져 있으며 개화기는 6~7월(몽골)이다. 몽골은 지각변동으로 바다가 융기된 지역이라서 삼각갯질경, 취명아주, 뿔나문재, 갯봄맞이 등의 염생식물이 분포합니다. 관련 글 : 좁은잎갯활량나물 (豆科) 갯활량나물 (豆科) 2024. 7. 3. 들떡쑥 (국화科)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백두권 초원에서 자주 만나던 ~ 이곳 몽골의 개체들이 더 크고 풍성하며 융모도 빽빽하게 더 많다. 비교적 건조하고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서 키 30~40cm로 자라는 다년생으로 곧게 자라며 全草에 백색의 융단같은 짧은 털이 빽빽하고 1~4개의 頭狀花는 6~7월에 개화한다. 互生하는 線形의 잎은 葉柄이 없으며 줄기는 根部에서 많이 발생한다. 관련 글 : 들떡쑥 (국화科) 2024. 6. 29. 가는용머리 (꿀풀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다년생으로 몽골, 시베리아에 분포하는데 흡수굴 주변의 자갈밭에서 자생 중인데 全草에 길고 흰털이 많고 키 10~15cm 정도로 자라고 있었다. 관련 글 : 가는용머리 (꿀풀科) 2024. 6. 29. 이전 1 2 3 4 ··· 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