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식물공부60

잠자리난초의 꽃 해오라비난초속 잠자리난초의 꽃 부의별 명칭 2016, 7, 30 해남 2014, 8, 2 강원도 인제 1, 등꽃받침(背花托) 2, 곁꽃받침(側 花托) 3, 예주(암술대) 4, 입술꽃잎(舌花片) 5, 입술꽃잎 갈래 6, 입술꽃잎 곁갈래 7, 꿀샘(距) 8, 花莖 & 子房 9, 주두(柱頭) 10, 곁꽃잎(側花片) 2023. 12. 11.
왕모람 (뽕나무科) 동남아 원산으로 자생지의 주민들은 우리의 무화과처럼 식용으로 한다하고 국내는 일부 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데 열매(花囊)를 분석한 정보를 게시하니 함께 보시죠 ^ 2022, 4, 20 4월 20일 현재 花囊의 입구가 열리지 않은 상태이며 매개충(좀벌 등)이 어떻게 들어가 受粉시켜야 하는가 궁금하다. 瘦果는 팽이 비슷한 모양인데 황록색 + 붉은색이다. 왕모람을 비롯한 천선과, 모람, 무화과는 일반적인 꽃을 피우는게 아니고 꽃주머니 (열매라 함) 즉 花囊으로 그 안에 암꽃 만 또는 수꽃 만 (單性花)​​ 또 왕모람처럼 암,수꽃이 함께 (兩性花) 들어있기도 한다. 화낭엔 아래 사진에서 보듯 털이 많은 花托이 있습니다. 花囊의 길이는 5,5cm, 지름은 3cm 정도이다. 花囊의 입구에서 안으로 들어가기 어렵게 실.. 2022. 6. 12.
들통발의 발아와 성장과정 들통발의 발아 성장하는 과정이 궁금해서 2021년 9월에 채종해 현관내에서 물에 담가두었는데 금년 (2022년 ) 5월 초에 종자에서 뿌리가 조금 나타나고 시간이 갈수록 자라는 모습을 촬영했습니다. 1, 종자 (2021, 9, 12) 2, 발근상태 (2022, 4, 8) 3, 뿌리가 많이 발생하고 줄기가 조금 자란 상태 (2022, 4, 13) 4, 뿌리와 줄기가 더 많이 자란 모습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 4, 13) 5, 잎도 자라고 제모습을 갖춘 줄기 (2022, 4, 15 ) 6, 작지만 포충낭(捕蟲囊)도 보인다 (2022, 5, 11) 7, 포충낭이 많이 자라고 나타났네요 (2022, 5, 27) 8, 실같은 잎도 많이 자라고 줄기 등 하나의 완성된 개체로 자란모습입니다. (.. 2022. 6. 5.
등칡의 모든 것 쥐방울덩굴科(Aristolochiaceae) 등칡(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의 생존 전략을 알아봅니다. 생리적 작용을 일으키는 受粉機作이 미스테리인 등칡은 섹스폰을 연상케 하는 꽃의 구조가 과학적이며 현명한 방식으로 受粉하고 열매를 성숙시켜 번식하는 과정을 부연합니다. 지난해부터 등칡에 매료돼 오늘까지 태백, 광릉, 화악산, 용인까지 섭렵하며 정리한 정보를 공유하고저 이 공간에 공개합니다. 비전문가 청파의 지식에 한계를 인정하기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 주변의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낙엽 덩굴성 목본류로 10m 까지 자라며 황록 & 황적색, 갈색으로 4~5월에 一家花(兩性花)로 개화한다. 사진에서 보 듯 등칡은 花托이 없습니다. 따라서 불완전 具備花이다. 위는.. 2022. 5. 17.
전호와 사상자 (산형科) 전호와 사상자의 차이는 1, 전호 : 4~5월에 개화하며 5개의 꽃잎 중 1개가 유난히 크고 줄기의 속이 비어있다. 2, 사상자 : 전호보다 늦은 6~7월에 개화하며 5개의 꽃잎 크기가 비슷하고 줄기의 속이 차있다. 1, 전호 (2022, 4, 30 홍릉수목원) 전호의 꽃잎은 5개중 1개가 유난히 크다. 전호의 줄기는 속이 비어있고 사상자는 차있다. 2, 사상자 (2020, 6, 21 홍릉수목원) 2019, 7, 13 영월 사상자 꽃잎 5개의 크기가 비슷하며 약간 갈라져있다. 2020, 7, 14 제주도 2022. 5. 6.
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科) 常綠 小灌木으로 키 5 ~ 10m 까지 자라며 중 남부 지방에 분포하는 針葉樹인데 雌雄異株 또는 간혹 雌雄同株도 있으나 암꽃(配偶體)을 보기가 쉽지않다. ※ 개비자나무와 눈비자나무는 【개비자나무科】이며 비자나무는 【주목科】 임을 참고하십시요 ^ 2022, 4, 27 광릉 위는 수꽃의 胞子囊穗 들 이고 아래는 암꽃(配偶體) 들 입니다. 잎 이면은 2줄의 넓은 백색 氣孔線이 있다. 2022. 5. 2.
옥녀꽃대와 홀아비꽃대 분석 홀아비꽃대科 옥녀꽃대와 홀아비꽃대의 꽃의 분석 자료입니다. 참고하십시요. 다년초로 옥녀꽃대는 전북을 비롯한 이남에 홀아비꽃대는 전국에 분포한다. 옥녀꽃대의 화서는 홀아비꽃대 보다 좀 엉성하다로 구분하기 보다는 세밀하게 동정함이 중요합니다. 옥녀와 홀아비의 수술대는 삼지창처럼 3갈래로 갈라져 붙는데 1, 옥녀는 수술대 안쪽에 3개의 수술대에 가각 꽃밥이 1개씩 총 3개가 붙는데 2, 홀아비는 수술대 밖에쪽 3개중 중앙은 빼고 양쪽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붙는데 간혹 옥녀처럼 3개도 있다. 옥녀꽃대 (2020, 4, 17 변산) 홀아비꽃대 (2022, 4, 27 광릉) 1 : 柱頭 2 : 꽃밥 (花粉囊) 홀아비꽃대 (2021, 4, 15 창경궁) 홀아비꽃대도 옥녀꽃대처럼 간혹花粉囊이 3개가 있는 개체도 있.. 2022. 4. 29.
검정말의 실체 자라풀科 검정말의 공개된 세밀한 정보가 없어 나름 2년간 관찰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2020, 6, 25 제주 2021, 8, 29 충남 남부 검정말은 다년생 수생식물로 마디에서 긴 뿌리가 진흙 속으로 박히고 줄기는 30~60cm로 자라며 긴 피침형의 잎은 3~8개가 輪生한다. 꽃은 암꽃(흰색 & 연갈색), 수꽃은 흰색으로 葉腋에서 8~9월에 개화한다. 꽃은 二家花로 葉腋에서 1개씩 발현하고 점차로 자라면서 자방이 3~5cm로 길어지며 물 위에 떠서 개화하는데 花托, 花片, 假雄蕊(가웅예=헛수술)이 가각 3개씩이다. 1, 수꽃 (아래 사진들) 수꽃(雄花)들은 아래서 보듯 花梗이 없이 葉腋에서 1개씩 피는데 성숙하면 쌓여있던 둥근 苞에서 가로로 갈라져 꽃만 분리돼 물에 떠다니다가 암꽃(雌花)을 만나면 .. 2021. 10. 11.
옥녀꽃대와 홀아비꽃대 분석 홀아비꽃대과의 비교 분석에 대한 소고 1, 옥녀꽃대 동정 1, 위 옥녀꽃대와 아래 홀아비꽃대의 수술대 길이를 보면 옥녀꽃대가 좀 더 길고 구부러져 있습니다. 2, 홀아비꽃대 동정2, 열매는 옥녀꽃대의 果莖이 짧게 있고 짧은 방망이 모양이며 홀아비꽃대는 과경이 없이 공 모양이다. 좌 = 옥녀꽃대 우 = 홀아비꽃대 동정3, 옥녀꽃대 : 수술대 3개 중 옥녀꽃대는 중앙 수술대 기부의 양쪽에 수꽃 꽃밥이 붙고 양쪽 가의 수술대 2개엔 밖에쪽에만 꽃밥이 1개씩 붙는다. 홀아비꽃대 : 홀아비꽃대의 양쪽 가의 수술대에 꽃밥이 각 1개씩 붙는 건 옥녀꽃대와 같으나 중앙 수술대엔 꽃밥이 없거나 간혹 1개씩 붙는게 다르다. 좌 = 옥녀꽃대 우 = 홀아비꽃대 ※ 옥녀꽃대 □ : 수술대 0 : 꽃밥 ◇ : 암술 머리(주두) .. 2021. 4. 19.
옥녀꽃대 동정하기 2020, 5, 17 전북 변산 옥녀꽃대 동정 포인트 1, 수분을 마친 상태로 종자가 여물어 가는 과정(옥녀꽃대) 옥녀꽃대의 花序 옥녀꽃대의 꽃술로 3개의 수술대중 중앙의 수술 안쪽에 양쪽으로 꽃밥이 붙어있다. 홀아비꽃대는 중앙의 수술대에 꽃밥이 없다. 아래 사진은 꽃을 떼어낸 안쪽의 모습입니다. □ : 수술대 ○ : 꽃밥 ◇ : 암술 머리(주두) ♡ : 자방(씨방) 사진은 옥녀꽃대로 수술 3개와 자방 1개가 1세트로 연결되었는데 중앙의 수술엔 꽃밥이 2개가, 양쪽 옆의 수술엔 꽃밥이 1개씩 총 4개가 붙어있다. 꽃밥들 바로 아래엔 암술과 자방이 있다(꽃을 떼어 안쪽을 확인해야 볼 수 있음) 홀아비꽃대도 수술은 3개 자방이 안쪽으로 1개가 붙어있으나 중앙의 수술엔 꽃밥이 없고 양 옆의 수술에 안쪽이 아닌.. 2020. 5. 19.
수정난풀속 동정 포인트 수정난풀속 동정 포인트 나도수정초 子房 머리는 푸른색으로 투명함, 열매는 머리를 숙이고 성숙 6 ~ 8월 개화 수정난풀 子房 머리는 황색 & 乳色으로 나도수정초보다 全草가 작음 8~10월 개화 / 열매는 직립해 성숙 구상난풀 全草가 진황색 & 연홍색 / 잔털이 있음 / 子房 머리가 花冠보다 길다. 6 ~ 7월 개화 너도수정초 구상난풀의 변종 / 연황색 / 花冠內 털이 없고 子房 머리가 花冠보다 짧음 7월 개화 나도수정초 : http://blog.daum.net/hwan254/12744978 구상난풀 : http://blog.daum.net/hwan254/12745204 나도수정초 수정난풀 너도수정초 2019. 10. 16.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의 구분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의 동정포인트 1, 작살나무 서울 관악산 (2019, 6, 27) 구분 팁은 잎의 거치와 동아의 다름이 약간 있으나 쉽게 가름 할 수 있는 포인트는 花序의 위치 입니다. 작살나무 : 花序가 葉腋에 바로 붙어 발생하고 ..... 좀작살나무 : 花序가 葉腋에서 5 ~ 6mm정도 간격을 두고 발생합니다 2 - 1, 좀작살나무 (2019, 6, 27) 관악산 2 - 2, 좀작살나무 2019, 6, 20 서울 효창공원 2019. 6. 28.
참나무류 알아보기 1, 갈참나무 2, 굴참나무 3, 떡갈나무 4, 신갈나무 5, 졸참나무 2018. 11. 20.
참물부추 (물부추科) 2018, 6, 8 경기 북부 사초과로 착각하기 쉬운 양치류로 다년초이며 습지나 얕은 물가에서 자라며 대다수의 꽃쟁이들이 물부추로 오인한다. 胞子葉(포자엽)은 둥글고 포기 가운데에 직립하며 자랄수록 많아저서 약 35개정도, 大胞子葉은 포기 밖으로 20여 개가 돌려 자라는데 포자엽과 달리 옆으로 누우며 넓적하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차후에 포자낭이 형성되면 확인해보고 추가 부연하겠습니다. 지난해 胞子葉의 단면 胞子葉은 중간 이상의 상부에 4개의 氣孔이 있어야는데 이건 3개네여 아래는 정상의 胞子葉으로 4개의 氣孔이 확실합니다. 2019, 7, 1 경기 2018. 6. 9.
한방명과 민간명 한방에서 불리는 약재이름과 민간이름 입니다 한방명 민간명 한방명 민간명 한방명 민간명 갈근 - 칡뿌리 감호 - 단감 건강 - 마른생강 건시 - 곶감 건지 - 애기풀 건칠 - 옺나무진 검실 - 가시연꽃열매 견우자 - 나팔꽃씨 결루초 - 잔디뿌리 계관화 - 맨드라미꽃 고목 - 소태나무 고복령 - 비해뿌리 고본 - 산천궁 고주 - 식초 곤포 - 미역 과루근 - 하늘타리뿌리 과체 - 오이 교맥 - 메밀 구인 - 지렁이 권백 - 부처손 길경 - 도라지 나마 - 박주가리뿌리 남과 - 호박 낭탕초 - 미치광이풀 노근 - 갈뿌리 노두 - 검정쥐눈이콩 노봉방 - 말벌둥지 누고 - 땅강아지 누로 - 개수리취 당귀 - 승검초뿌리 대계 - 엉겅퀴 대극 - 버들옷 대마 - 역삼 대산 - 마늘 대조 - 대추 대황 - 장군풀뿌리 .. 2016.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