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무늬종 초본류253

피뿌리풀 (팥꽃나무科) 황금색 피뿌리풀 무늬종은 처음보았습니다. 2022, 6, 26 몽골 한갈노르 2022. 8. 15.
미국자리공 (자리공科) 2021, 8, 29 충남 남부 귀화종으로 다년생이며 키 1m 이상 자라기도 하고 互生하는 잎은 타원형이다. 8~9월에 개화하는 꽃은 연분홍색이며 수술 암술이 각각 10개이고 화피도 10개이며 줄기는 붉은색이고 뿌리는 독성이 있습니다. 자리공은 암술 수술, 花被가 각각 4개씩이다. 2021. 11. 17.
섬바디 (산형科) 2021, 5, 6 울릉도 나름 무늬가 좋은데 길가라서 밟히고 꺽이고 ~ 그래도 다년초이니 잘 버텨주리라 . . 2021. 5. 18.
섬곽향 (꿀풀科) 2020, 7, 14 제주 한경면 현지에서 발견 당시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2020, 9, 5일의 모습입니다. 花托에 샘털이 아주 많고 잎이 곽향, 덩굴곽향, 개곽향보다 두텁다. 잎 이면의 그물무늬 葉脈이 뚜렷하다. 또 줄기에 세로의 골이있다. 2020. 9. 9.
왕모시풀 (쐐기풀科) 2020, 7, 14 제주도 黃散斑이 화려한 葉變種으로 오래도록 번식하며 잘 살아가길 기원해봅니다. 2020. 8. 23.
박하 (꿀풀科) 2020, 7, 4 발견 당시 모습 (춘천) 2020, 9, 5 많이 자란 모습 2020, 10, 2 개화 시작함. 2020. 7. 7.
윤판나물아재비 (백합科) 2020, 5, 3 울릉도 울릉도엔 윤판나물아재비, 선칼퀴, 섬바디나물, 섬노루귀, 산마늘, 말오줌때, 우산마가목, 큰두루미꽃, 전호가 섬 전체에 지천으로 널려있습니다. 정말 많습니다. 수십만 아니 수백만 개체들이 자라고있습니다. 아래는 황복륜 무늬종 10여 개체들이 고정된 상태로 자라고 있었습니다. 2020. 5. 9.
물봉선 (봉선화科) 2019, 8, 10 전남 광주 황산반이 훌륭하나 1년초라서 특별한 의미가 없습니다. 2019. 8. 17.
도라지 (초롱꽃科) 2019, 6, 3 화룡 청호촌 다음에 또 많이 성장한 모습으로 만나길 기대해봅니다. 2019. 6. 20.
끈끈이딱지꽃 (장미科) 끈끈이딱지꽃 무늬종은 처음 본다, 먼 이국 땅 화룡 청호촌에서 ~ 2019. 6. 20.
쑥부쟁이 (국화科) 어제 산행에서 만난 넘 황반 무늬가 기대 됩니다. 2019. 4. 21.
좀보리사초 (사초科) 황금색 변이종 좀보리사초를 만났습니다...... 어디서 ? 동해안에서요 2018. 5. 29.
애기나비나물 (豆科) 2018, 4, 20 서귀포 안덕 말들을 방목하는 오름인데 할미꽃, 고사리, 돌가시나무를 제외한 풀이나 어린 나무는 말들의 먹이로 뜯겨서 키가 모두 다 작다 애기나비나물도 바닥에 붙어있는 줄기만 남고 ~ 2018. 4. 28.
용둥굴레 (백합科) 예전에 춘란, 무늬종에 올인하던 때 거의 날마다 찾아가던 종로엘 다녀왔습니다. 언제나 청파에겐 특별히 배려해주던 야생화 가계에서 용둥굴레 무늬종을 보았다. 과거 같았으면 원가에 인수 했을텐데 ~ 이미지만 담아왔습니다. 2018. 4. 28.
개대황 (마디풀科) 오늘 서울시내 고궁에서 무늬종을 발견했습니다. 오랜세월 식물 탐사하면서 다양한 變異種들을 만났지만 개대황은 처음이다. 아름다운 葉變에 꽃이나 종자가 예쁘면 錦上添花련만 ~ 2017.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