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동 식물142 나도수정초 (노루발科) 2020, 5, 17 전남 葉綠素가 없는 다년성으로 腐生植物이며 꽃은 5~7월에 핀다. 2020. 5. 19. 개종용 (열당科) 2020, 5, 4 울릉도 너도밤나무 자생지에서의 기생식물로 다년생이며 키 10~30㎝, 엽록소가 없고 식물체가 흰색 또는 연갈색으로 花托에 성근 긴털이 있으며 根莖이 짧다. 잎은 육질의 鱗片이 밀생하고 길이 5~10mm로 심장형이다. 꽃은 穗狀花序에 개화는 4~5월이다 花托은 4개이고 花冠은 脣形花冠으로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分果(裂果)로 주름이 있음 花托에 길고 성 털이 보인 受粉이 끝나고 성숙중인 종자가 선명하게 보인다능 ㅎㅎ 2020. 5. 9. 긴잎도깨비고비 (면마科) 2020, 4, 23 제주 2020. 5. 1. 구슬이끼 (구슬이끼科) 2020, 4, 14 강원 줄기는 곧게 또는 옆으로 누워 자라며 키 1~3cm, 잎은 4∼9mm이며 버들잎모양으로 위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포자낭은 둥글며 녹색인데 붉은 갈색으로 변하고 윤기가 나며 숲속에서 주로 자란다. 분포 : 러시아·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렐리아 2020. 4. 16. 일엽초 (고란초科) 2020, 3, 18 제주도 2020. 4. 8. 동백나무겨우살이 (겨우살이科) 2020, 3, 18 제주도 常綠 寄生 半灌木으로 동백나무와 감탕나무, 사스레피나무, 모새나무, 사철나무, 섬쥐똥나무등에 기생한다. 개화기는 4~5월이다 2020. 4. 6. 알록큰봉의꼬리 (꼬리고사리科) 2020, 2, 4 창경궁 2020. 3. 3. 원앙새 2020, 2, 4 창경궁 동영상 낙선재 2020. 2. 13. 미국실새삼 (메꽃科) 2019, 10, 30 서울 양재천 火筒의 裂片 끝이 뾰족(銳底)하고 뒤로 약간 젖혀진다. 갯실삼은 裂片이 젖혀 안진다. 미국실새삼 : http://blog.daum.net/hwan254/12745086 갯실새삼 : http://blog.daum.net/hwan254/12745117 분홍실새삼 : http://blog.daum.net/hwan254/12745118 2019. 10. 31. 구상난풀 (노루발科) 2014, 7, 8 강원 2019. 10. 16. 우단일엽 (고란초科) 2019, 10, 9 경북 북부 잎에 갈색의 우단 같은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있고 바위 또는 나무에 着生하며 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자생하는데 常綠性으로 전국에 分布하나 주로 남녁에서 볼 수 있다. 葉柄은 없고 줄기는 땅속으로 자라지만 착생의 경우는 아래처럼 들어나 보이며 마디에서 잎이 발생한다. 포자가 혹시 있으려나 확인했으나 보이지 안는다. 여름에 成熟한 胞子가 이미 脫粒했기에 ~ 2019. 10. 14. 참통발 (통발科) 2019, 9, 24 경기 서해안 늦쟁이 꽃이라도 있을까 찾았으나 못보였다 명년 개화기때 다시 가보면 많은 꽃을 볼 수 있으리라 ~ ~ ~ ~ ~ ~ ~ 열매처럼 검게 보이는건 捕蟲囊(포충낭)인데 물벼룩등의 벌래가 다가와 미세한 털에 감지되면 순간적으로 평상시 닫고있던 입구 판이 열리고 물을 아주 빠르게 빨아들며 순간 입구는 닫혀지며 서서히 물을 걸러내고 소화시킨다. 연노랑색은 아직 미성숙한 捕蟲囊 捕蟲囊이나 벌래를 잡은 경력있는 포충낭은 검은색으로 변하고 통발, 들통발과 달리 화경이 꽉 차있으며 보편적인 식물과 달리 육식하는 식물입니다. 開花期 : 8~9월 分布 : 전국 동정포인트 참통발 : 花莖이 꽉차고 열매달림, 越冬芽는 줄기 중간에 붙고 側芽(측아)가 많이 발생 번식 잘 됨 통발 : 花莖에 구멍이.. 2019. 9. 27. 물긴가지이끼 (둥근이끼科) 2019, 8, 30 경기 남부 속명 리시아로 더 잘 알려지고 水中 또는 습지 식물로 물이 마르면 진흙에 뿌리를 내려 자라기도 하는 雌雄同體이다. 2019. 9. 13. 새삼 (매꽃科) 2019, 8, 24 화악산 새삼 열매 花期는 이미 지난듯 꽃은 없었습니다. 2019. 8. 30. 갯실새삼 (메꽃科) 2019, 8, 28 경기 북부 花被의 裂片이 子房을 완전히 싸고있으나 자방이 자라면 열매는 火筒안에 있거나 약간 올라와 있음으로 동정 할 수 있다. 이곳엔 기주식물로 두과 식물인 둥근매듭풀, 돌콩, 새팥이 많은데 이들에 기생하고있었다. 아래는 蟲廮(충영)입니다. 미국실새삼 : http://blog.daum.net/hwan254/12745086 분홍실새삼 : http://blog.daum.net/hwan254/12745118 2019. 8. 29.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