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그외 동 식물142

물긴가지이끼 (둥근이끼科) 2019, 8, 30 경기 남부 속명은 Riccia fluitans인데 水中 또는 습지 식물로 물이 마르면 진흙에 뿌리를 내려 자라기도 하는 雌雄同體이며 어항의 수초로 사용하기도 한다. 2020, 9, 24 경기 중부 2021. 12. 29.
쥐방울덩굴 / 등칡 쥐방울덩굴科 쥐방울덩굴 & 등칡 정보입니다. 1, 쥐방울덩굴 (2020, 7, 5 춘천) 덩굴성 다년생으로 5m 까지 자라고 根莖, 實生 번식하며 잎은 互生한다. 꽃은 7~8월에 개화하는데 통(筒) 같은 花托은 밑 부분이 둥글게 커지며 열매는 削科로 커다란 공모양이다. 2021, 6, 12 서울 2020, 7, 6 노들섬 열매와 종자 (2014, 3, 2 용문산) 2, 등칡 (2021, 5, 5 태백산) 낙엽 덩굴성 목본류로 10m 까지 큰나무를 타고 올라가며 줄기의 굵기도 5~10cm 로 자라고 둥근 심장형의 잎은 호생하고 양성화(兩性花)의 황록색 꽃은 4~5월에 색스폰 모양으로 엽액(葉腋)에서 개화한다. 아래는 꽃(花筒)의 단면도이며 ㅁ안은 꽃술대로 암술과 수술이 융합된 기관으로 난초과 식물들이 그런.. 2021. 12. 22.
새삼 / 갯실새삼 / 미국실새삼 / 분홍실새삼 기생식물로 다른 식물에 기생해서 뿌리가 없어도 영양분을 탈취해 생존하는 메꽃과 새삼들을 함께 봅니다. 새삼 화통이 좁고 열편 끝이 5갈래이고 끝이 무디고 꽃술이 화통과 높이가 비슷하다. 갯실새삼 화통의 끝이 5갈래이고 젖혀지며 열매(자방)가 화통 안에서 약간만 보인다. 미국실새삼 화통열편 끝이 5갈래, 끝이 젖혀지고 뾰족하며 열매의 절반 정도가 화통밖으로 올라옴 분홍실새삼 화통 열편 끝이 5갈래, 끝이 젖혀 안지고 뾰족하며 화색이 분홍색이다. 1, 새삼 (2020, 6, 1 제주도 강정교) 2, 갯실새삼 (2019, 8, 28 연천) 아래는 수분(受粉)이 끝나고 열매가 성숙중입니다. 아래는 벌래가 기생해서 열매처럼 생긴 충영([蟲癭)입니다. 충영을 갈라보면 속은 벌래가 머물던 공간이 보입니다. 3, 미국.. 2021. 12. 22.
물개구리밥 (생이가래科) 2021, 8, 29 충남 남부 상록 수생 다년초이며 2개로 갈라지는 잎은 葉柄이 없고 줄기는 羽狀으로 갈라진다. 小胞子囊은 잎 이면에서 볼 수 있다. 가을엔 아름답게 단풍색으로 변합니다. 아직 胞子囊은 보이지안고 뿌리에 미세한 털이 있음만 확인했다 털이 없으면 큰물개구리밥 입니다. 2021, 9, 16 시흥 2021. 11. 17.
고란초 (고란초科) 2021, 5, 25 제주 다년생으로 상록 착생 양치식물로 잎은 긴 楕圓狀 또는 피침형으로 잘 자라면 끝이 2~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황색의 낭퇴(囊堆)는 둥글며 잎 이면의 지맥(支脈) 사이에서 두 줄로 성숙하며 포막(包膜)은 없다. 2021. 6. 5.
공작고사리 (공작고사리科) 2021, 5, 6 울릉도 다년초로 키 80여 cm 까지 자라고 胞子囊群은 小葉邊의 가장자리에서 6~8월에 성숙한다. 2021. 5. 20.
일색고사리 (면마科) 2021, 5, 7 울릉도 제주와 울릉도에 분포하는 상록 다년초로 잎은 3회 羽狀으로 갈라지며 胞子囊群은 葉身 아랫쪽, 또는 小脈 끝에 붙고 胞膜은 콩팥모양이다. 2021. 5. 17.
초종용 (열당科) 2021, 4, 22 제주도 사철쑥에 기생하는 다년생으로 꽃은 자주색, 흰색으로 5~6월에 穗狀花序로 개화하며 兩性花이다. 2021. 5. 4.
가는쇠고사리 (면마科) 2020, 3, 19 제주 상록 다년초로 전국에 분포한다 2021. 2. 28.
땅귀개 (통발科) 2020, 12, 3 전남 금년 막바지에 땅귀개 군란지를 다녀왔습니다. 다년생 식충식물로 키(花莖) 10~15cm 정도로 크며 잎은 線形으로 根莖에서 7mm 정도로 자라고 1~2개의 捕蟲袋로 작은 곤충을 먹이로 하며 꽃은 8~10월에 황색으로 개화한다. 2020. 12. 9.
끈끈이주걱 (끈끈이주걱科) 2020, 12, 3 전남 남쪽은 따스한 날씨라서 12월인데도 푸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딴 나라에 온듯한 느낌 ^^ 국내의 대표적인 食蟲植物로 다년생이며 잎은 주걱모양으로 근생하며 끈적한 샘털이 있어 곤충이 붙으면 약 1시간 정도 지나면 곤충을 샘털이 완전히 감싸고 또 5시간 정도 지나면 완전히 소화액으로 녹여 흡수하며 5일 정도 후엔 껍질만 남겨 버려진다. 2020. 12. 9.
발풀고사리 / 풀고사리 (풀고사리科) 1, 발풀고사리 2020, 12, 3 전남 상록 다년초이며 키 1m 내외이고 잎은 옆으로 뻗는 根莖에서 30~60cm의 葉柄에 마주 붙고 윤채가나며 胞子囊은 中肋과 葉邊의 중간에 붙는다. 분포 : 남부, 제주도 2, 풀고사리 2020, 12, 3 전남 상록 다년초, 다수의 개체가 함께 자라며 키 2m까지 자라는 대형 양치류이고 根莖은 옆으로 자라며 葉柄은 50~100 cm에 잎은 2회 羽狀으로 광택이 나고 胞子囊은 中肋과 葉邊의 중간에 4개씩 6~9월에 생성된다. 2020. 12. 9.
실고사리 (실고사리科) 2020, 12, 3 전남 덩굴성 다년초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2m 정도 까지 자라기도 한다. 葉柄이 아주 길고 건조하며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자생한다. 2020. 12. 9.
솔잎란 (솔잎란科) 2020, 12, 3 전남 급경사를 올랐으나 촬영 역시 쉽지 않았다. 아쉬운대로 몃 컷 접사했습니다, 포자낭이 동글 동글 맺혀있습니다. 곧 갈라져 포자는 날아가겠지요^ 또 다른 2, 3세를 위해서 ~ ~ 2020. 12. 9.
왕다람쥐꼬리 (석송科) 2020, 12, 3 전남 상록 다년초로 20~30cm 정도 자라는데 다람쥐꼬리의 2배 정도이며 가는 피침형의 잎은 윤채가있고 胞子葉은 보통 또는 약간 작다. 자생지는 아주 험악한 밀림속인데 개체수가 극히 소수다. 좀다람쥐꼬리, 다람쥐고리, 긴다람쥐꼬리는 不定芽가 있으나 왕다람쥐꼬리는 없다. 胞子囊은 가지 또는 원줄기 끝부분의 葉腋에 1개씩 붙고 타 종과 달리 胞子囊穗가 없으며 콩팥 모양의 연황색으로 끝에서 옆으로 갈라져서 포자가 나온다. 胞子囊이 성숙 단계로 선명하게 보인다.. 포자가 성숙해서 빠저 나간 胞子囊이 옆으로 벌어져있다. 2020.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