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잎약난초3 두잎약난초 (약난초屬) 두잎약난초는 소수의 개체만 남아서 근근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데 훼손 없이 보호해야 할 난과식물로 금년의 3번째 확인을 통해서 무난하게 잘 자라 가고 있음에 안심하면서 마지막 조우를 했고 다시 보러 가지 않으렵니다. 오래도록 많은 번식과 건강한 서식을 기원하면서 ~ 2023, 5, 23 제주도 다년생 地生蘭으로 總狀花序의 꽃은 5월에 개화한다. 구경(벌브)은 1~3년에 1개씩 늘어가며 각 구경은 지하경으로 연결되고 구경에 영양분을 저장해 새잎이 자라는데 도움이 된다. 두잎약난초는 감자난초처럼 개화기땐 잎이 사라지고 가을에 새잎이 평균 2매가 (그래서 2잎약난초) 자라나 월동하며 이듬해 또 개화기땐 노화돼 없어지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각각의 구경을 분리하면 1개의 개체로 잎이 나오고 꽃이 피는데 자연상태에.. 2023. 5. 30. 두잎약난초 (약난초屬) 2021, 5, 25 제주도 멸종위기 2급식물로 제주도에 소수가 자생하는 다년생으로 잎은 1~2개이나 꽃이 필때쯤엔 말라 없어지고 꽃대만 30~40cm 정도 자라서 5~6월에 황갈색의 꽃이 달려 피고 가을에 잎이 직립해 자라서 월동하나 봄에는 바닥에 붙고 꽃이 필때 다시 사라지는 과정을 번복한다. 2021. 6. 7. 두잎약난초 (약난초屬) 2020, 6, 1 제주 다년성 난초과 식물로 키 25~40cm 정도 자라며 약난초의 한개인 잎에 비해서 두잎약난초는 1~2개이고 화서가 전혀 다르게 촘촘한 약난초보다 많이 엉성하며 개화기는 5~6월이다. 2020. 6.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