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목본류549

찔레꽃 (장미科) 2015, 4, 26 제주도 9년 전 사진이네요 보편적인 흰꽃이 아닌 분홍색으로 좀 더 큰 찔레입니다. 어딘지 조차 기억이 없으나 변함없이 잘 자라고 있으리라 ~ 2024. 4. 1.
묏대추나무(갈매나무科) 2022, 9, 19 인천 낙엽 관목 & 소교목으로 키 2~4(~10) m로 자라고 황록색의 양성화는 6~7월에 개화하며 국내의 메마른 산지에서 자생하고 남유럽, 중국 북부, 만주, 몽골에서 분포한다. 광타원형의 核果는 9~10월에 적갈색으로 성숙하며 크기는 길이 2~3.5cm이고 종자는 길이 1cm 내외이다. 托葉이 변한 가시는 길고 날카로운 모습이다. 互生하는 잎은 卵狀 타원형으로 길이 3~7cm로 둔한 거치가 있으며 털은 없다. 2024. 3. 2.
사스레피나무 (차나무科) 雌花株 (2024, 2, 17, 서울) 常綠 灌木 & 小喬木으로 키 2~4 (~10)m로 자라며 국내의 남부지방과 해외는 일본, 중국 남부에 분포하며 황백색의 꽃은 葉腋에서 2~4월에 개화합니다. 雌雄異株 (간혹 雌雄同株)의 암꽃은 사진에서 보듯 花冠 안에 암술대가 보이고 柱頭는 3갈래로 갈라지며 漿果(장과)는 10~11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하는데 다음 기회에 ~~ 互生하는 잎은 길이 3~7cm로 倒披針形이며 葉柄의 길이는 2~4mm로 짧고 잎의 이면으로 전면처럼 털이 없고 매끄러우며 얕고 둔한 거치는 불규칙하다. 雄花株 (2023, 4, 12 제주도) 수꽃(雄花株)은 암술대가 없고 수술만 (12~15개) 보인다. 관련 글 : 사스레피나무 (차나무科) 2024. 2. 26.
누리장나무 (마편초科) 2023, 8, 20 제주도 안덕 落葉 灌木 & 小喬木으로 키 2~5(8)m 로 자라고 국내 중부 이남과 필리핀(북부),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聚繖花序의 흰꽃은 7~8월에 가지 끝, 상부의 葉腋에서 양성화로 개화하는데 花托은 5개로 갈라지며 녹색에서 점차 적자색으로 변하며 花冠(花片)도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암, 수술은 길게 花冠 밖으로 나오고 수술이 좀 더 길다. 對生하는 잎은 삼각상 卵形으로 길이 6~15cm, 잎 끝이 뾰족하며 거치는 거의 없고 잎 이면엔 크고 작은 腺點이 있으며 葉柄의 길이는 2~8cm로 비교적 길다. 樹皮는 회갈색으로 갈색의 皮目이 많이 생긴다. 2020, 8, 12 제주 중문동 열매 (2016, 9, 10 삼척) 核果는 적자색으로 변한 花托안에 광택이 나는 짙은 남.. 2024. 2. 10.
사람주나무 (대극科) 2021, 5. 23 서울 落葉 小喬木으로 4~6m로 자라고 국내 중부 이남, 일본, 중국에 분포합니다. 樹皮는 회백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약간의 광택이 있고 新枝는 상처 나면 대극과 특유의 유백색 액체가 나온다. 암대극, 흰대극처럼 ~~ 2023, 5, 20 서울 雌雄同株로 황록색 꽃은 5~6월에 新枝 끝에서 總狀花序로 개화하는데 花序의 상부는 수꽃이 하부엔 평균 2~3개의 암꽃이 붙어 개화한다. ※ 이 공간의 꽃들은 모두 다 수꽃(雄花序)만 있으니 암꽃은 맨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십시요. 2023, 8, 21 제주도 삭과(蒴果)는 3갈래로 깊게 골진 원형이며 10~11월에 녹갈색으로 성숙한다. 互生하는 잎은 길이 8~15cm, 폭 4~7cm로 끝이 뾰족한 타원형이며 표면은 진녹색, 이면은 옅은 .. 2024. 1. 27.
후추등 (후추科) 2020, 4, 23 제주도 안덕 상록 덩굴성 목본으로 줄기는 길이 10m까지 자라고 마디에서 발근(氣根)하며 주변의 바위 & 나무 등을 타고 올라간다. 分布 : 제주, 거문도, 손죽도 / 일본, 타이완 互生하는 잎은 廣卵形 & 심장형으로 길이 6~12cm, 葉柄은 10~20m로 털이 거의 없다. 아래는 암꽃으로 길이 2~4cm로 수꽃의 1/2 ~ 1/4 크기로 작다. 2021, 5, 27 제주 호근동 雌雄異株로 황록색의 수꽃은 길게 아래를 향해 늘어져 5~6월에 개화하고 길이 5~15cm이다. 적색의 열매는 核果로 구형이며 지름 3~4mm, 11월부터 다음해 2월에 성숙합니다. 果穗의 길이는 2~4cm임 열매가 후추향과 매운맛이 나서 후추향으로 명명됨 2024. 1. 19.
꼬리말발도리 (수국科) 2021, 4, 28 경남 落葉 灌木으로 키 1~2m로 자라며 경북, 경남일부 지역에서 드물게 자생합니다, 樹皮는 회갈색으로 매끈하고 皮目이 듬성히 나있다. 백색의 兩性花는 4~5월에 圓錐花序로 개화며 花冠의 지름은 8~10mm, 꽃잎은 4~5개, 암술대는 1개 수술은 5개이다. 對生하는 잎은 타원상(楕圓狀) 卵形으로 길이 7~10cm 이며 잔거치가 촘촘하게 나있고 葉柄의 길이는 3~6mm, 표면에 짧은 星狀毛가 밀생함으로 거칠고 이면에 털이 없다. 2024. 1. 14.
꼬리조팝나무 (장미科) 2020, 7, 22 경기도 落葉 灌木으로 키 2m까지 자라고 互生하는 披針形의 잎은 길이 4~8cm, 葉柄의 길이는 1~4mm로 짧고 圓錐花序의 연홍, 진홍색의 꽃은 7~8월에 兩性花로 줄기 끝에서 빽빽하게 모여 핀다. 2022, 9, 11 인천 관련 글 : 꼬리조팝나무 (장미科) 꼬리조팝나무 (장미科) 2024. 1. 13.
제주고추나물 (물레나물科) 2023, 8, 20 제주도 다년생으로 2005년 신품종으로 발표된 국내 특산종이며 키는 대략 20cm 내외로 자랍니다. 황색의 꽃은 8~9월에 개화하며 花冠의 지름은 1~1.5cm 정도로 고추나물보다 좀 작으며 總狀花序로 개화한다. 연황색의 꽃이 피는 개체를 만남도 행운이리라 . Good ^^ 이곳의 개체들은 꽃잎엔 검은 油點이 없고 花托엔 약간 보였다. 일부는 아래처럼 열매가 많이 자랐고 다음 기회엔 종자도 볼 수 있을겁니다. 對生하는 잎의 길이는 2cm 정도이고 葉底는 줄기를 약간 감싸며 葉柄은 전혀 없다. 잎 이면에 작고 검은 油點이 많이 보인다. 타 품종들과 달리 줄기가 목질화된 사실상 목본류임이 특징인데 가늘다. 2023. 9. 5.
겨울딸기 (장미科) 2023, 8, 20 제주도 덩굴성 常綠 小灌木으로 지면으로 기면서 자라고 마디에서 발근해 번식하며 互生하는 잎은 亞圓形 & 卵形으로 길이 5~10cm, 葉邊은 3~5 갈래로 얕고 무디게 갈라지고 끝은 비교적 둥근 심장형에 전초엔 짧고 흰털이 밀생합니다. 백색의 꽃은 7~8월에 葉腋에서 總狀花序로 5~10여개의 화방이 어긋나게 붙어 피며 花托과 꽃잎은 각각 5매이며 암술은 길고 수술은 짧다. 열매 (2023, 12월 초 2023. 9. 2.
개벚지나무 (장미科) 2021, 5, 26 제주도 落葉 闊葉 喬木으로 키 10m까지 자라며 互生하는 잎은 길이 4~8cm로 타원형이다. 정상으로 受粉된 꽃은 子房이 자라서 열매로 자라는데 수분이 안된 꽃은 사진에서 보듯 花托만 빨강색으로 변해 꽃보다 더 예뻐 보입니다. 꽃 (2017, 5, 3 광릉) 總狀花序의 백색 꽃은 5월에 개화한다. 2023. 7. 25.
섬괴불나무 (인동科) 모레 (6월 25일 )부터 7월 4일까지 몽골의 초원과 산맥을 돌아보는 탐사 여정으로 사진 . 글 올리는 것 잠시 접습니다. 돌아와 더 의미있는 식물정보 보여드릴께요 장마와 더위에 안전과 건행 하시길 바랍니다. 2023, 5, 16 광릉 낙엽 관목으로 키 1~2m로 자라며 互生하는 잎은 길이 4~8cm의 장타원형으로 양면에 짧은 털이 산재하고 백색 또는 황백색의 兩性花는 5~6월에 新枝의 葉腋에서 2개씩 개화한다. 열매 2023, 5, 26 漿果는 성숙하면 7~8월에 2개씩 붙어서 적색으로 성숙하는데 과육엔 독성의 있습니다. 2023. 6. 23.
동청목 (감탕나무科) 2023, 5, 20 홍릉 雌雄異株의 암꽃은 4개의 헛수술(假雄蕊)이 있으며 중앙에 자방이 위치한다. 수꽃은 다음 기회로~~ 2023. 6. 22.
대팻집나무 (감탕나무科) 1, 雄花株 (숫나무) 2023, 5, 14 서울 국내의 감탕나무科 중 유일하게 낙엽성 목본류로 낙엽성 喬木이며 키 15m 까지 자라고 타원형 & 광난형(廣卵形)의 잎은 대부분 互生하나 短枝는 모여난다. 雌雄異株의 수꽃은 짧은 가지에 많이 모여 피는데 4~5개의 수술이 있고 꽃잎은 시간이 지나면 뒤로 젖혀진다. 이 개체는 잎 양면에 털이 전혀 없다. 일부가 이처럼 털이 없으면 민대팻집나무로 구분하는데 참고사항 입니다. 2, 雌花株 (암나무) 2023, 5, 26 광릉 이 암나무도 잎 양면에 털이 전무합니다. 수꽃과 달리 자방이 크게 존재하고 柱頭는 약간 끈적임이 있는 듯 꽃가루가 많이 붙어있다. 4~5개의 꽃잎이 있으며 核果는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는데 다음 기회로 미룹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 암.. 2023. 6. 20.
덩굴옻나무 (옻나무科) 오래전부터 청파의 식물 bucket list인 덩굴옻나무 암꽃은 운 좋게 보았으나 수꽃은 어쩌나 먼 남쪽 섬지방으로 가야 하니 ㅋ 언젠간 이루리라 기대해 봅니다. 2023, 5, 3 광릉 落葉 덩굴성 목본류로 키 10m까지 자라고 氣根으로 다른 바위나 나무에 붙어 올라가며 互生하는 잎은 三出葉으로 표면은 털이 없어 광택이 나며 이면은 葉脈사이에 갈색 털이밀생한다. 2023, 5, 26 雌雄異株로 황록색의 꽃은 5월에 葉腋에서 總狀花序로 개화한다. 뒤로 젖혀지는 5개의 花托과 1개의 암술대는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꽃의 수술은 5개인데 숙제로 ~ 다음 기회에. 5mm 내외의 花梗엔 잔털이 밀생한다. 잎, 줄기의 상처에선 흰 독성의 점액질이 나옵니다. 樹皮는 회갈색이고 新枝는 갈색 털이 밀생한다. 가지는 .. 2023.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