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새삼3

새삼 (메꽃科) 2023, 9, 8 백두권 고성촌 두래마을 국내에선 좀처럼 보기 어려웠는데 이곳엔 최상으로 어마 무시하게 실새삼류들처럼 자라고 있었다. 버드나무와 콩과식물, 그리고 비술나무에 붙어있는 모습을 담아왔네욤 1년생 덩굴식물이며 주로 콩과 식물 등 寄生根이 숙주식물의 몸체에 들어가 영양을 강탈하며 살아가는 기생식물로 잎이 없어 스스로 광합성이 불가합니다. 원통형의 흰꽃은 끝에서 5갈래로 갈라지고 5개의 花托과 5개의 수술, 2갈래로 갈라진 1개의 암술로 이루어지고 7~9월에 개화한다. 蒴果는 9~10월에 갈색으로 성숙한다. 2023, 9, 9 백두산 언저리 룡정 완숙한 종실과 종자의 모습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종자는 흑회색으로 변합니다. 관련 글 : 새삼 / 갯실새삼 / 미국실새삼 / 분홍실새삼 2023. 11. 2.
새삼 (메꽃科) 1, 새삼 (2020, 6, 1 제주 ) 열매가 여물어 가는중임 새삼 갯실새삼 ▲ 미국실새삼 새삼 화통이 좁고 열편 끝이 5갈래이고 끝이 무디고 꽃술이 화통과 높이가 비슷하다. 갯실새삼 화통의 끝이 5갈래이고 젖혀지며 열매(자방)가 화통 안에서 약간만 보인다. 미국실새삼 화통 열편 끝이 5갈래, 끝이 젖혀지고 뾰족하며 열매의 절반 정도가 화통 밖으로 올라옴 2020. 7. 7.
새삼 (매꽃科) 2019, 8, 24 화악산 새삼 열매 花期는 이미 지난듯 꽃은 없었습니다. 2019.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