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왕모람2

왕모람 (뽕나무科) 동남아 원산으로 자생지의 주민들은 우리의 무화과처럼 식용으로 한다하고 국내는 일부 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데 열매(花囊)를 분석한 정보를 게시하니 함께 보시죠 ^ 2022, 4, 20 4월 20일 현재 花囊의 입구가 열리지 않은 상태이며 매개충(좀벌 등)이 어떻게 들어가 受粉시켜야 하는가 궁금하다. 瘦果는 팽이 비슷한 모양인데 황록색 + 붉은색이다. 왕모람을 비롯한 천선과, 모람, 무화과는 일반적인 꽃을 피우는게 아니고 꽃주머니 (열매라 함) 즉 花囊으로 그 안에 암꽃 만 또는 수꽃 만 (單性花)​​ 또 왕모람처럼 암,수꽃이 함께 (兩性花) 들어있기도 한다. 화낭엔 아래 사진에서 보듯 털이 많은 花托이 있습니다. 花囊의 길이는 5,5cm, 지름은 3cm 정도이다. 花囊의 입구에서 안으로 들어가기 어렵게 실.. 2022. 6. 12.
왕모람 (뽕나무科) 2022, 1, 19 왕모람의 정보가 모든 도감 및 검색에도 없다. 그동안 왕모람으로 알려진 개체들은 애기모람으로 통합했다 합니다. 상록 덩굴성으로 동남아가 원산으로 잎은 對生하고 有性枝의 잎과 줄기가 월등히 크고 (장란형, 길이 4~10cm, 폭 2~5cm) 無性枝로 추정되는 ㅁ부분은 애기모람 정도로 작게 보인다. 유, 무성지가 한 나무에서 공존하는지는 다음 기회에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줄기에 氣根이 가끔 보이는데 습도가 많은 원산지에서는 많은 기근이 보일것으로 추측된다. 수과(瘦果)는 팽이 비슷한 모양인데 길이 4~8cm, 폭 3~5cm로 황록색 + 붉은색이다. 2022.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