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몽골 야생화339

검정납작골풀 (골풀科) 국내에서 수년전 동해 석호에서 발견된 희귀종으로 다년생이며 습지 주변에서 자생하고 몽골 자생지의 개체들은 키 7~15cm로 작으며 골풀 중 최고로 예쁜 꽃을 피운다. 반드시 만나봐야지 했는데 앞전 몽골 출사때 보게되었습니다. 2022,. 6, 25 몽골 (하르 주르흐니 후흐 노르 공원에서 한갈노르 가기 전 중간 지점) 砲는 3~5cm로 바늘처럼 길게 화서위로 올라갔다. 柱頭는 3갈래로 나사처럼 꼬이며 子房은 붉은색, 6개의 수술 꽃밥은 황색, 花被는 검정색이다. 잎은 납작하며 골이진다. 검정납작골풀 자생지 모습 2022. 7. 14.
장구채屬 (석죽科) 2018, 7, 3 몽골 2일차 2018, 7, 4 몽골 3일 차 흡스골 2018, 7, 5 몽골 4일 차 흡스골 2018, 7, 6 몽골 5일 차 흡스골 주변 산정호수 2018, 7, 7 몽골 6일 차 흡스골 2018, 7, 8 몽골 7일 차 무당마을 2018, 7, 9 몽골 8일 차 무당마을 2018, 7, 10 몽골 9일 차 무당마을에서 다음 기착지 자작나무 숲으로 이동 중 2018, 7, 11 12 몽골 11일 차 호스타이 국립공원 토종말 타키 복원지 2022. 1. 11.
감둥사초 (사초科) 2018, 7, 5 몽골 3일 차 흡스골 주변 2022. 1. 11.
쇠비름아재비 (마디풀科) 2018 7, 6 몽골 산정호수 급하게 대충 접사해서 사진이 부실합니다. 2021. 6. 5.
대청 (십자화科) 2018, 7, 12 몽골 야생말(Przewalski's Horse) 복원지 이때는 정명을 모르고 처음 보는 신기한 식물이라 촬영했는데 지난번 경남 출사때 알게되었다. 염료식물로 북방계 식물이며 북한의 원산 바닷가에서 많이 자생한댄다. 2년초로 키가 70여 cm로 자라고 개화기는 3~4월이며 열매가 근연종에 비해서 독특하다. 열매는 검게 성숙하며 아래로 처지고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2021. 4. 4.
큰바람꽃 (미나리아재비科) 2018, 7, 5 일 뻐꾸기마을 메인캠프에서 오른쪽 흡스골 주변에서 ~ 김태정 도감에 큰바람꽃 ( Anemone narcissiflora Linne var.crinita(Juz.) Taruma) 으로 이영노 도감엔 긴털바람꽃 (Anemone narcissiflora Linne var.crinita(Juz.) Taruma 으로 수록되었는데 백두산에서 본 조선바람꽃과 비슷합니다. 긴털바람꽃은 키 40cm로 (이영노) 큰바람꽃은 40~70cm(김태정) 몽골에서 본 개체들의 키가 40cm 보다 더 크게 자라고 있었기에 큰바람꽃으로 잠정 동정합니다. 청파가 본 바람꽃 품종은 1회리바람꽃, 2들바람꽃, 3꿩의바람꽃, 4변산바람꽃, 5만주바람꽃, 6홀아비바람꽃, 7바이칼바람꽃, 8세바람꽃, 9남바람꽃, 10바람꽃,.. 2021. 2. 28.
갈루자属 (산형科) 2018, 7, 10 몽골 9일 차 마지막 야영지 자작나무숲에서 텐트 설치후 촬영 (오후 7시 반경) 학명; Carum carvi L. 중국명; 葛缕子属. 꽃잎은 5개로 국내의 사상자를 닮았다. 2020. 11. 25.
삼각갯길경 (갯길경科) 2018, 7, 3 몽골 울란바트로 외곽 몽골은 바다였는데 지각 변동으로 형성된 지역으로 ... 그래서 염생식물인 갯길경이가 자생한다능 2019, 7, 12 몽골 11일 차 야생마 복원지인 후스타이 국립공원 2019. 11. 27.
꿩의다리속 (미나리아재비科) 2018, 7월 5일 몽골 4일 차 메인캠프 흡스굴 우측 야산 산행 아래는 우리의 좀꿩의다리를 많이 닮았고 화색이 다양하고 좀 더 진합니다. 7월 7일 몽골 6일 차 메인캠프 호수 건너 (자유 탐사) 7월 9일 몽골 8일 차 호리둘 사리닥 산맥 호스타이 국립공원 도중 沙丘에서 7월 12일 몽골 마지막 날 11일 차 토종말 복원지 후스타이 국립공원 긴잎꿩의다리 : http://blog.daum.net/hwan254/12744841 발톱꿩의다리 : http://blog.daum.net/hwan254/12744372 좀꿩의다리 : http://blog.daum.net/hwan254/12745078 자주꿩의다리 : http://blog.daum.net/hwan254/12744370 2019. 8. 17.
애기자운 (豆科) 2018. 7. 9 몽골 8일 차 호르딜사르닥 산맥 오르면서......... 호르딜사르닥 산맥 2019. 8. 13.
송이풀속 (현삼科) 몽골에서 본 송이풀들 ^ 다양한 화색, 다양한 모습의 품종들, 몽골 도감에도 수록되지 안아서 정명 동정을 이젠 포기하고 눈으로 보고 즐기는 걸로 하렵니다. 1, 2018, 7, 4 몽골 3일 차 흡스굴 메인캠프 진입 전 습지 2, 2018, 7, 5 몽골 4일 차 흡스굴 메인캠프 우측으로 탐사하면서 ... 3, 2018, 7, 6 몽골 5일 차 흡스굴 부근의 산정호수 5, 2018, 7, 8 몽골 7일 차 흡스굴 무당마을 6, 2018, 7, 9 몽골 8일 차 호리둘 산맥 오르던 날 흡스굴 호수 메인캠프 화려한 모습만큼이나 매운탕 맞도 구~웃^ 매화마름이 빽빽한 자생지 호리둘 사르닥 산맥 ( Horidol saridag 2,961m) 2박했던 게르호텔 순수 야생말 복원지 공원(Hustai National.. 2019. 8. 7.
분홍각시바늘꽃 (바늘꽃科) 2018, 7, 9 몽골 8일 차 Hovsgol & 호리둘 사리닥 산맥을 배경으로 ~ 꽃이 분홍바늘꽃보다 좀 더 크고 키는 30~40cm 정도로 기본종의 80~160cm 보다 작다. 분홍바늘꽃 : http://blog.daum.net/hwan254/12744741 2019. 8. 4.
금매화 / 큰금매화 (미나리아재비科) 금매화 2018, 7, 5 몽골 흡스골 야영지(무당마을) 주변 탐사 2018, 7, 6 흡스골 호수 주변의 산정호수 큰금매화 2018, 7, 5 몽골 흡스골 야영지(무당마을) 주변 탐사 큰금매화는 꽃잎이 花托보다 길다. 금매화는 꽃잎과 花托의 길이가 비슷 하거나 꽃잎이 약간 길다. 꽃잎이 화탁보다 짧으면 애기금매화로 구분 하기도 하는데 자생지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음으로 의미가 없다능, 꽃잎 아래 안쪽으로 보이는 것이 암, 수술들이다. 관련 글 : http://blog.daum.net/hwan254/12744925 2019. 7. 31.
인가목 (장미科) 2018, 7, 5 몽골 흡스골 캠프에서 북동 방향으로 탐사 중 ... 花托이 花冠보다 길고 花莖과 花托에 샘털이있으며 열매가 長圓形이다. 2018, 7, 7 몽골 흡스골 캠프 건너 자유시간에 만난 ~ 흡스골 호수 경관 2019. 7. 30.
선등갈퀴 (豆科) 2018, 7, 8 몽골 7일 차 흡스골 무당마을로 향하면서 2019.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