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몽골 야생화339

꿩의비름屬 (돌나물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키가 작고(약 15cm) 곧게 선 꿩의비름을 만났는데 흰꽃이 촘촘하게 붙은                 花序의 길이가 全草의 절반에 이르며 줄기가 상대적으로 굵은  엉뚱한 녀석이었다.            흰花筒은 좁은 나팔처럼 생기고  受粉이 끝나면             유난히 긴 암술대가 밖으로 나와있으며  花苞는 자주색이다.             다육질의  전형적인 잎이 꿩의비름임을 알 수 있음 2024. 5. 23.
까치밥나무屬 (까치밥나무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호리둘 사리닥 산맥 사면에서           이끼류가 촘촘하게 깔려 자라고 있는 습한 지역에(이탄층) 키가 작고 (20~30cm) 곧게 선               까치밥나무류를 볼 수 있었는데 가시가 있는 유사종들과 달리 보이지 않았고 ~ ~                全草에 털이 거의 없으나 잎 이면의 엽맥과  葉柄에 거친 털이 산재합니다.             진 분홍색의 꽃은 뒤로 젖혀져 피고 .....             漿果는 타원형이고 花托이 남아있는데 성숙하면 사리질 듯하고 果色이 궁금하다.                검은색 ?  아님 붉은색 ?              관련 글 :  넓은잎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科) 2024. 5. 23.
장대屬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가는장대를 닮은 개체들로 건천의 메마른 돌밭에서 자생 중이었고 十字花科                   특유의 4개의 花被片에 花冠 중앙에 암술 변방에 수술이 위치한 양성화입니다. 2024. 5. 21.
꿩의다리꽃屬 (미나리아재비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흡스굴 주변 좀꿩의다리 비슷한 개체인데 花梗이 꽤 길고 3~4개의 花托은 옆으로 벌어지거나 뒤로 젖혀지고 10여 개의 수술은 크고 길게 花冠 밖으로 나와 아래를 향한다. 처음 알현하는 꿩의바람꽃이다. 根生葉으로 광택이 나며 털이 없고 아종과 차별되며 莖生葉도 없었다. 금매화들이 여신처럼 반겨주는 자생지 경관 2024. 4. 6.
솜방망이 (국화科) 2023, 6, 28 몽골 여정 4일 차 다년생으로 키 20~70cm로 자라고 根生葉은 타원형으로 5~7매이며 3~4매의 莖生葉은 위로 갈수로 좁아지고 엽병이 없다. 황색의 頭狀花는 3~9개가 5~6월에 散房花序로 개화한다. 관련 글 : 솜방망이 (국화科) 2024. 3. 27.
연복초 (연복초科) 2023, 6, 29 몽골 여정 5일 차 흡스굴 주변 몽골에선 처음 본 연복초 상세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보십시요 연복초 (연복초科) 정상적으로 受粉이 이루어지지 못해 열매가 비정상으로 죽어있다 변덕이 심한 날씨탓 일 듯 자생지에서 ~ 관련 글 : 열매 연복초 (연복초科) 2024. 3. 23.
체꽃 (산토끼꽃科) 2023, 6, 26 몽골 여정 2일 차 솔체꽃, 구름체꽃보다 잎이 잘게 갈라지며 우라시아, 아프리카 원산으로 키 50cm 내외로 자라고 7~8월에 頭狀花序로 개화한다. 관련 글 : #구름체꽃 #체꽃 (산토끼꽃科) 2024. 3. 20.
#은쑥 #털산쑥 #흰산쑥(흰털산쑥) 1, 은쑥 2022, 7, 2 몽골 여정 8일 차 테를지 부근 多年生草本으로 백두산 주변과 일본, 중국 동북부, 몽골, 사할린, 아무르, 시베리아, 유럽, 북미등 여러 지방에 분포하며 키 20~40cm로 자라고 互生하는 잎은 羽狀으로 갈라지고 백색의 絨毛(융모)가 밀생한다. 개화기 : 10월 2, 털산쑥 2023, 7, 2 몽골 여정 8일 차 키 40~70cm로 자라며 互生하는 잎은 羽狀으로 갈라지고 이면에 綿毛가 있다. 황해도, 함경북도, 중국 동북부, 몽골,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함. 개화기 : 7~8월 3, 흰산쑥(흰털산쑥) 2023, 7, 2 몽골 여정 8일 차 황해도 이북에 분포하며 키 70cm 까지 자라고 互生하는 잎은 羽狀으로 갈라지며 양면에 백색의 綿毛가 밀생한다. 2024. 3. 11.
붓꽃屬 (붓꽃科) 2023, 6, 29 몽골 여정 5일 차 백두산 언저리에서 보았던 만주붓꽃과 닮았는데 몽골에서 가끔 눈에 띄었다. 최혁재의 몽골도감 p458에 영어로 수록된 글을 파파고로 촬영 한국어로 해석해 보니 아래와 같아서 좀 황당합니다 2024. 3. 8.
붓꽃屬 (붓꽃科) 2023, 6, 30 몽골 여정 6일 차 도로가 염습지에서 처음 본 붓꽃 .... 화색이 타래붓꽃을 닮았으나 꽃이 좀 더 크다. 잎도 타래붓꽃처럼 약간 꼬이고 ~ 2024. 3. 7.
고 본 (산형科) 2018, 7, 6 몽골 여정 5일 차 다년초로 키 30~80cm로 곧게 자라고 全草에 털이 거의 없으며 약향이 강하고 互生하는 잎은 3회 羽狀複葉으로 회향 & 개회향처럼 가늘며 중국 동북부와 일본, 국내는 약용으로 재배했었음. 양성화는 複傘形花序로 7~8월에 5수성으로 개화하며 小傘梗은 15~20개로 많고 總苞는 0~2개, 小總苞는 1~5개, 꽃잎은 5개로 끝이 깁게 패이며 뿌리는 약용으로 한다. 2024. 3. 5.
검은제비고깔 (미나리아재비科)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2018년에 이어서 지난해에도 검은 꽃이 피는 개체를 만났습니다.                      다년생으로 키  50~90cm 정도로 자랐고  6~7월에 개화하며                        花梗엔 짧은 털이,  花托과 花被片엔 긴 털이 밀생하고  ~~                   수술이 아주 많다.                         35개 내외로 ...             莖生葉은 갈라짐이 적고  根生葉은 깁게 많이 갈라며 양면에 털이 거의없다.            관련 글 :  제비고깔 & 검은제비고깔 (미나리아재비科)                           큰제비고깔 (미나리아재비科) 2024. 3. 4.
아마 (아마科) 2023,  6,  30   몽골  여정  6일  차             1년초로 키 1m 내외로 자라며 줄기에서 섬유를 얻어 마포를 만들고 종자로              아마유(亞麻油)를  생산하는데 국내는 1900년대 유입돼 재배했다 합니다.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이집트, 몽골에 분포한다.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줄기는 상부에서 分枝하고 청자색 & 흰꽃은 줄기 끝에서 긴 花梗에 1개씩               피는데 5개의 꽃잎과 花托도 5개로 갈라진다.               互生하는 잎은 피침형으로 줄기를 감싸듯 위를 향하며               이면엔 짧은 털이 밀생하고 葉柄은 없.. 2024. 2. 22.
개자리屬 (豆科) 2023, 6, 26 몽골 여정 2일 차 1박한 숙소에서 아침 일찍 마주한 개체들이 비를 맞고 축 늘어져있었는데 화색이 다를뿐 자주개자리와 비슷하나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노랑개자리와 또 다르다. 유럽 원산으로 러시아, 일본, 몽골에 분포한다. 2023, 7, 1 몽골 여정 7일 차 관련 글 : 노랑개자리 (豆科) 자주개자리 / 잔개자리/ 벌노랑이 2024. 2. 21.
몽골홑잎운향 (운향科) 2023, 7, 2 몽골 여정 8일 차 몽골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다년초로 키 30~50cm 정도, 繖房花序의 황색 꽃은 6~7월에 兩性花 & 單性花로 개화하며 花托과 花片은 각각 4~5개다. 互生하는 腺狀 피침형의 잎은 葉柄과 葉脈, 托葉이 없고 위를 향해 직립한다. 관련 글 : 몽골홑잎운향 (운향科) 2024.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