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파 야생화
  • 농장에서

겨우살이3

동백나무겨우살이,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예전엔  낮은  위치에  붙어있는  겨우살이들을  많이  볼  수  있었으나                     요즈음은  아주  나쁜  인간들이 모두  다  잘라가서  엄청  높은  위치에만              존재하기에  망원렌즈  아니면  촬영이  어렵습니다.              1,  동백나무겨우살이   (2017,  10,  25   제주도)            ▲ 감탕나무에 기생하는 동백나무겨우살이들 ~                    (2020,  3,  18    제주)         常綠 寄生 半灌木으로  동백나무와  감탕나무,  사스레피나무,  모새나무,  사철나무,                     섬쥐똥나무  등에  기생하며  잎은  퇴화됨.                 .. 2025. 1. 6.
겨우살이 (단향科) 수년전부터 겨우살이 가계들의 과제를 마무리하려 했지만 못된 인간들이 낮은 개체들을 다 잘라가 높은 위치에만 남아서 아주 아주 작은 꽃을 접사 하기는 불가능했다. 그래도 국립수목원엔 감히 훼손 안됐겠지 생각에 지난 3월 31일 부푼 마음으로 달려갔건만 에 효 ! 혹시나가 역시나였다. 많기는 한데 다 높은 위치다. 40-150mm 줌렌즈도 무용지물 ... 열매는 잡히는데 꽃은 꽝 ! 포기하고 내려오다 3m 정도의 높이에 제법 큰 개체가 보인다. 그래도 어찌해서 작은 꽃을 초접사 했는데 수꽃이었습니다. 암꽃은 어디로 가야하나 ㅋㅋㅋㅋㅋㅋㅋ 겨우살이는 常綠 小灌木으로 30~80cm로 자라고 녹색의 가지는 叉狀으로 分枝해서 까치집처럼 원형을 이루고 줄기의 마디 부분은 약간 부풀어있다 對生하는 잎은 長楕圓形으로 3.. 2022. 4. 17.
겨우살이 (겨우살이科) 2020, 11, 29 강원도 예전엔 낮은 위치에서도 많이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나쁜 인간들 때문에 까마득 높은 위치에만 남아있다. 망원렌즈 없이 30매크로로 촬영했는데 아쉬움에 화나고 웃픈 현실을 경험한 하루였네염 寄主植物은 참나무, 팽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배나무 등이다. 반기생성 상록 小灌木으로 30~70cm 정도 자라며 樹形은 叉狀(차상)으로 까치 둥지처럼 分枝하며 녹색 & 황록색으로 光合成도 가능하고 피침형 楕圓狀 잎은 對生하며 革質이고 털이 없다. 雌雄異株의 꽃은 3~4월에 줄기 끝에서 황색으로 모여피며 열매는 10월 이후에 황색으로 성숙하고 조류가 열매를 먹고 배설한 종자는 끈적한 점액질에 의해 나무에 붙어 발아 성장한다. 2020.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