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본류1480 갯그령 (禾本科) 2023, 5, 29 백령도 중부 이북의 해변 모래밭에서 서식하는 다년초로 키 1m 까지 자라고 개화기는 5~6월이다. 어린 개체로 내년엔 꽃이 필 듯 ... 2023. 6. 8. 시베리아여뀌 (마디풀科) 시베리아여뀌 오래전부터 기억했지만 자생지 백령도행은 지척인 대청도에서 여러 번 좌절되었다. 하지만 금년엔 어케든 다녀오리라 부처님 오신 날 3 연휴일에 성취했다. 함께 보시죠^ 2023, 5, 28 2008년에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북방계 식물인 시베리아여뀌가 해변 모래밭에 빽빽하게 끝없이 펼쳐져 자생중입니다 헐! 놀랍다. 다년생이며 중국 북부, 몽골, 러시아 원산으로 키 평균 10~20cm 정도로 자란다. 국내 자생지의 꽃은 5~6월에 總狀花序로 줄기 끝에서 兩性花가 피는데 황록색이며 5개의 花片과 7~8개의 수술 그리고 암술대는 3개이다. 위, 아래 사진에서 원안에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 모습이 보입니다. 受粉이 끝나고 열매가 성숙하는 단계임 互生하는 잎은 길이 3~7cm, 털이 없고 전면은 매끈 이면.. 2023. 6. 5. 비너스도라지 (초롱꽃科) 2023, 5, 24 제주도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1년초이며 키 20~70cm 로 자라고 互生하는 잎은 廣卵形 & 심장형인데 托葉으로 착각케 하며 穗狀花序의 보라색 꽃은 4~6월에 葉腋에서 1~3개가 위를 향해 개화한다. 줄기 윗쪽에서 꽃이 피고 아랫쪽엔 폐쇄화의 열매(종실)가 달리고 종자도 생긴다. 종실(열매)이 성숙하면 종자가 튀어나가고 花筒과 꽃받침만 남는다. 종자인데 갈색이며 아주 작다. 2023. 5. 26. 새모래덩굴 (방기科) 덩굴성 다년생 초본류로 전국에 분포하고 2m 내외의 줄기는 땅으로 누워서 또는 다른 식물을 올라가며 잎은 互生하고 全草에 털이 없으며 雌雄異株의 연황색 꽃은 圓錐花序로 5~6월에 개화한다. 수꽃 (2023, 5, 3 광릉) 單性花의 수꽃은 꽃잎(花片)이 6~10, 수술은 12~20개이다. 줄기와 花梗, 葉柄은 원통형으로 둘글다. 2023, 6, 16 잎자루는 잎의 가장자리가 아닌 방기과 특유의 잎몸에 붙는다. 암꽃 (2023, 5, 16 광릉)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암꽃도 單性花이며 정상으로 자란 꽃은 子房이 4개로 갈라져있고 열매는 核果로 9월에 검게 성숙하는데 다음 기회에 추가하겠습니다. 2023. 5. 18. 나사말의 실생번식 (자라풀科) 2023, 4, 30 열매와 종자 . . 열매가 겨울동안 현관에서 월동후 발아해 자란 모습입니다 (4월 30일 현재) 떡잎 2매와 본엽 1매, 작은 뿌리도 자랐습니다. 작은 종자에서 발아함 종자에서 자란 줄기의 중간에서 發根한 (원안) 모습 다년생인 나사말은 겨울에 물속 지상부는 죽고 지하의 뿌리와 월동芽가 살아남아 다음해 봄에 다시 자라서 runner로 일부는 종자로 번식합니다. 관련 글 : 나사말 (자라풀科) 나사말의 분석에 대한 小考 나사말 수꽃 2023. 5. 15. 긴사상자 (산형科) 2023, 4, 12 제주도 1년초로 전국에 자생하고 4~5월에 아주 작은 흰 꽃이 피고 열매가 길다. 2023. 5. 5. 나도물통이 (쐐기풀科) 2023, 4, 12 제주도 다년초로 제주를 비롯한 남부 지역에서 서식하며 키 10~20cm정도 자라고 잎은 互生하며 잎 뒷면은 짙은 자주색임, 꽃은 雌雄 同株이고 4~5월에 葉腋에서 수꽃은 긴 꽃대 끝에서 안쪽으로 말려있던 수술이 바깥쪽으로 퉁기면서 꽃가루를 뿌린다, 암꽃의 꽃대는 짧고 타원형의 瘦果는 꽃잎에 쌓여있다. 개화한 모습은 중앙에 암술과 주변에 5개의 수술이 보인다. 2023. 5. 5. 갯활량나물 (豆科) 2023, 5, 3 광릉 북방계 식물로 몽골에서 많이 보았는데 국내서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해변에서 서식하고 키 40~80cm로 자라며 小葉은 3매이고 互生하고 托葉은 타원형으로 1~2매가 양쪽으로 마디에 붙고 황색의 꽃은 總狀花序로 5~7월에 개화한다. 성숙한 꽃은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와 꽃가루가 붙어 수분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미처 덜 성숙한 꽃 속을 벌려서 보니 길게 자란 암술 1개와 10개의 수술이 있었습니다, 2023. 5. 4. 그늘별꽃 (석죽科) 2023, 4, 12 제주도 개체수가 많이 줄었다. 그래도 볼 수 있음이 행복이 아닐런지 내년엔 많은 번식을 기대해 봅니다. 2015년 식물학회지에 보고된 다년생 초본으로 잎이 넓고 葉邊이 주름지며 수술 길이가 길고 10개이며 꽃밥이 노랑색으로 7개 미만이고 자주색인 별꽃과 구분된다. 2023. 5. 2. 개감수 (대극科) 2023, 4, 12 제주도 다년생으로 키 40cm 정도까지 곧게 자라며 소수의 가지가 갈라지고 互生하는 잎은 葉柄이 짧으며 楕圓狀이고 꽃은 황록색이며 花梗은 5개, 小花梗은 2개로 배열되고 距는 초승달 모양이며 蒴果는 3개로 갈라지고 상처가 생기면 유독성의 흰액체가 나온다. 2023. 5. 1. 흰광대나물 2023, 4, 22 경기 안산 2018년 제주에서 흰광대나물 소수를 만남도 대박이라 했는데 이 자생지는 대군락이다. 광대나물은 월년초로 키 10~30cm로 자라는데 이곳은 하양이와 기본종이 공색중이다. 기본종에선 잘 못보이는 암술 머리의 빨강색이 돋보여 매력적이다. 잎은 對生하고 葉柄은 없으며 꽃은 葉腋에서 葉狀으로 붙고 4~5월에 개화한다. 줄기는 속이 비어있다. 2023. 5. 1. 털제비꽃 (제비꽃科) 2023, 4, 12 제주도 이름에 걸맞게 全草에 거친 털이 많고 잎은 심장형에 보라색을 띄우고 이면은 더 짙다. 2023. 4. 27. 알록자주잎제비꽃 (제비꽃科) 제비꽃 정명 동정이 어렵다. 끈임없이 속간 변이가 계속되어서 국내에 대략 120여 종이 존재한다고 일부는 주장합니다. 100여종이라 해도 난감할거다. 청파가 보유한 제비꽃 도감(2012년에 발간)에도 70여종이다. 그래도 함께 동행한 꽃칭구의 도움으로 알게된 알록자주잎제비꽃 . 같이 보시죠 2023, 4, 12 제주도 잎 이면은 자주색이고 전면은 알록이다. 그래서 알록자주잎제비꽃으로 명명한 듯 합니다. 2023. 4. 25. 남바람꽃 (미나리아재비科) 2023, 4, 12 제주도 여러번 조우했던 남바람꽃 ! 관심에서 제외했으나 국내 최대 자생지가 개발됨 사라질지도 모른다기에 어쩜 못 볼 수도 있다 생각해서 카메라에 정성껏 담아왔습니다. 처음엔 남방바람꽃 이었으나 남바람꽃으로 개명되었는데 청파가 보유한 식물도감 30여권엔 수록되지 않았다. 이영노 도감에도 ~ 꽃쟁이들 중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 . 남바람꽃은 다년생으로 줄기 끝에서 평균 2개의 꽃이 핍니다. 우연히 발견했는데 화관 중앙의 암술 부위가 주황색인데 미스테리하다. 열매와 종자도 생성되는지 ~ 사진에서 보듯 일반적인 꽃들과 달리 花托이 없다. 꽃잎으로 보이는 5장이 꽃받침( 花托) 입니다. 일부 잎 이면에 노루귀처럼 돌기가 많은데 어떤 역활을 하는지 정보가 없어 난감하다. 월동하면서 방어적인 .. 2023. 4. 25. 매미꽃 (양귀비科) 2023, 4, 23 용인 다년생 초본으로 키 30cm 내외로 자라며 줄기가 없고 羽狀複葉의 잎은 根部에서 발생하고 황색의 꽃은 4~5월에 개화하며 피나물과 비슷하나 피나물은 줄기가 있고 그 끝에서 꽃이 피는데 매미꽃은 根部에서 꽃대가 나옴이 다르다. 花托은 2개인데 사진에서 보듯 대부분은 없습니다. 兩性花로 중앙에 암술이 보이고 주변에 수술이 있다. 꽃대와 잎이 根部에서 동시에 올라와 자란다. 葉柄, 花梗의 단면에선 유독성의 빨간 액체가 나옵니다. 蒴果는 기둥 모양이고 7~8월에 성숙한다. 2023. 4. 24. 이전 1 2 3 4 5 6 7 ··· 99 다음